정치 대통령실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 규명, ‘휴대폰’에 달렸다

검찰의 비선 실세 국정개입 의혹이 속도를 내면서 관련자들의 휴대폰이 실체 규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관련자들의 진술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가운데 통화 내역과 위치 정보 등을 정밀 분석할 경우 소위 ‘십상시 비밀회동’과 연락 여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공개된 휴대폰 외에 차명폰 등 이른바 ‘비선폰’이 존재할 가능성도 존재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청와대 문건 유출사건과 의혹 내용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은 ‘정윤회 문건’에서 등장하는 비밀회동의 실체 규명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빠르면 이번 주 내 마무리될 수 있을 것으로 전해졌다.

박관천 경정이 올해 1월 동향보고 형식으로 보고한 문건에 다르면 이재만·정호성·안봉근 등 핵심비서관 3인방을 비롯해 ‘십상시’로 거론되는 청와대 비서관들이 지난해 10월부터 매월 두 번씩 서울 강남 중식당에서 만나 국정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돼 있다.


검찰은 이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박 경정과 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을 잇따라 소환하고 박 경정의 휴대전화 통화기록 등도 분석했다. 또 김춘식 청와대 행정관을 소환해 조사를 벌였고 정 씨와 비서 3인방의 소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들이 모두 소환된다고 해도 사실이 확인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조 전 비서관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문건의 신빙성이 60%”라고 언급했다. 하지만 최근 검찰 조사를 받은 김춘식 비서관은 “정윤회씨에 대해서는 얼굴도 모른다”며 의혹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고 정 씨 역시 “지난 4월 이재만 비서관과 한번 연락한 것과 최근 논란이 일면서 통화를 한 것을 제외하면 한번도 만난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로의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기 때문에 검찰도 진술만으로 사실 확인을 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객관적인 증거를 찾기 위해서는 휴대폰 통화 내용과 위치 추적 기록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다.

만약 모임이 실제로 존재했고, 정 씨가 이들과 연락을 했다고 한다면 통화 내역과 송수신 기록에 고스란히 남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만약 관련자간 통화 내역과 송수신 기록이 없다면 문건의 내용이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검찰이 문건의 내용을 ‘허위’라고 판단할 근거가 된다.

하지만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 명의의 휴대폰으로 의사소통을 했다면 검찰의 조사를 피할 수도 있다. 검찰이 차명폰의 존재 여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