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북 안전보장·경제지원 약속 문서화해야"

러시아 대사 "힐 대사, 해결책 적극 모색할 것"<br>"김 위원장 전승기념일 행사 참석 통보 못받아"

테이무라즈 라미시빌리(50) 러시아 대사는 3일 북한을 6자회담에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고 경제지원을 약속하는 서면 형태의 성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라미시빌리 대사는 이날 서울 정동 러시아대사관에서 연합뉴스와 가진 회견에서 이 같이 밝히고 북한에 대해 '회담 복귀시 핵폐기 대가로 미국이 침공하지 않고 경제지원을 한다'는 내용의 서면 성명을 내놓도록 하겠다고 설득해야 한다고 말했다. 라미시빌리 대사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달 21일 왕자루이(王家瑞)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장에게 '조건 성숙'시 회담에 복귀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모호한 발언이지만 긍정적이다"고 평가한 뒤 "북이 내걸은 양대 조건은 '안전보장과경제지원'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핵 폐기 대신에 주권국가로 인정받기를 원한다"면서 "북한과 미국이 상호 비방하면서 관계가 악화됐는데도 한국, 러시아, 일본, 중국 등 4개국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는 점도 지적했다. 6자회담 의제와 관련 그는 "러시아는 '핵'외의 문제가 제기되는 것에 반대한다"며 납치, 인권문제 등을 제기한 일본과 미국의 협상 태도를 겨냥한 뒤 "미국과 양자회담을 고집했던 북한이 다자회담을 수용한 이유를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노무현 대통령이 5월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60주년 전승기념일 행사 초청을 받은 것과 관련, 김 위원장도 참석할 것인지에 대해 "아직 통보를 받지못했으며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대신 참석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라미쉬빌리 대사는 지난 달 26일 한.미.일 3자협의에서 '러시아 역할론'이 제기된 데 대해 "러시아는 회담 참가국중 나머지 5개국 모두와 아주 긴밀하고 공평한 관계를 유지 해왔다는 독특한(unique) 점이 있다"면서 "러시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해 향후 러시아가 대북 설득에 한층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또 크리스토퍼 힐 주한 미 대사가 국무부 동아태 담당 차관보 및 6자회담 수석대표로 임명된 것에 대해 "힐 대사는 아주 능력이 있고 훌륭히 관리할 수 있는 프로 협상가"라고 극찬한 뒤 "(보스니아 분쟁을 타결한) 데이턴 평화협상에서 축적한 경험들이 북핵문제의 해결책 모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홍덕화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