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00호이상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의무화

◎서울지역 중소형사 비상/자금부족 기술개발 엄두 못내/내년 아파트분양 대거 차질 위기중소주택업체들이 음식물쓰레기 때문에 비상이 걸렸다. 내년부터 서울에서 아파트를 지을 때는 음식물쓰레기 감량시설을 설치해야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업체들은 전혀 준비가 돼있지 않아 자칫 내년의 아파트분양이 대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17일 환경부·서울시 및 주택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내년부터 1백가구 이상의 공동주택을 지을 경우 음식물쓰레기 감량시설을 설치하도록 의무화했다. 또 환경부는 개발면적 30만㎡ 이상의 주택단지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협의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이와함께 주택업체가 1천∼2천가구이상의 아파트단지를 지을 경우 음식물쓰레기 공동퇴비화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에 따라 동아, 삼성, 현대산업개발, 우방, 청구 등 대형주택업체들은 이미 올초부터 이에 대한 대비를 해왔으며 이 분야가 유망하다고 보고 자체적으로 기술개발을 하거나 외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중소업체들은 이같은 상황을 거의 모르고 있거나 알고 있더라도 자금부족으로 기술개발은 엄두를 못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서울시는 공동주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설치 의무화와 관련, 관련법개정을 추진하는 한편 개정전이라도 시설 설치를 조건으로 건축심의를 승인해 준다는 방침이어서 당장 내년부터 쓰레기시설에 대한 준비가 없는 중소업체들은 서울에서 주택사업을 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업계 전문가들은 『중소업체들은 자체 기술개발이 어려우므로 대형업체와 기술제휴를 하거나 이미 상품화돼있는 자원화시설을 이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국내 음식물쓰레기처리시설 현황/평동환경 등 쓰레기발효·소각기 속속 개발/시간당 처리능력 15∼3천㎏까지 상품 다양 현재 음식물쓰레기 퇴비화 또는 자원화시설을 개발한 국내 업체로는 평동환경, 서울식품, 한성환경기연, 동양기전 등이 있다.현대산업개발에 기술을 제공키로 한 평동환경은 바이오메이트라는 처리장치를 개발해 현대가 올해 분양한 경주황성동과 수원화서동의 아파트단지에 설치중이다. 이 설비는 쓰레기를 발효건조시켜 퇴비화하는 것으로 80%정도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하루에 90∼1백50㎏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아파트단지내 한개 동에 하나 꼴로 설치된다. 특히 여기에서 나오는 퇴비는 평동환경이 수거해가며 평동환경은 이를 다시 농가와 축산업자 등에게 ㎏당 40원씩에 되팔아 쓰레기를 완전 재활용하고 있다. 서울식품공업은 최근 일본의 산쿄엔지니어링과 기술제휴,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 및 비료화하는 뉴오카도라라는 쓰레기 소각기를 개발해 판촉활동에 나섰다. 이 제품은 미생물 발효제를 이용해 12∼24시간만에 퇴비화하는 기존의 고속발효기와 달리 미생물을 사용하지 않고 기계안에서 1시간만에 생찌꺼기의 조직을 파괴해 사료나 퇴비로 만든다. 서울식품공업은 수분을 포함해 비닐, 스티로폼, 젓가락, 뼈등 모든 쓰레기를 별도의 선별과정없이 처리하며 설치면적과 비용이 기존 발효기의 3분의1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시간당 처리능력이 15∼3천3백㎏까지 42개 모델을 내년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한성환경기연은 최근 일본의 ACT엔지니어링사와의 기술제휴로 음식물쓰레기를 고속분해해 살균처리하는 하이콤포발효기를 국산화해 특허를 출원했다. 이 기계는 발효균이나 수분조정제를 첨가하지 않고 자연부착균을 활성화시켜 발효과정에서 악취로 인한 공해가 없고 소비전력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1일 처리용량이 30∼2천㎏까지 8가지 종류가 있으며 처리시간은 용량에 따라 6∼10시간이다.<한기석>

관련기사



한기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