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펀드분석] 주식형ㆍ채권형 나란히 강세 (5월 2일 현재)

주식형과 채권형 펀드가 동반 강세를 보인 한 주였다. 지난 2일(금) 공시된 기준가격으로 제로인이 펀드수익률을 조사한 결과, 일반 성장형 펀드는 한 주간 2.05%의 수익을 냈다. 시장 연동 상품인 인데스 펀드는 같은 기간 2.31%를 기록해 성장형 펀드와 함께 1.87% 상승한 종합주가지수 상승률을 웃돌았다. 특히 대표적 주식형 상품인 성장형 펀드가 지수상승률을 웃돌 수 있었던 것은 펀드 내 보유비중이 높은 삼성전자(3.39%), 국민은행(4.92%), 현대차(5.51%), SKT(3.36%) 등 업종 대형주들이 강세를 보인 것이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인덱스 펀드의 4월 한 달간 수익률은 무려 12.05%에 달했고 성장형 펀드도 8.95%의 높은 수익을 냈다. 인덱스와 성장형 펀드의 월간수익률이 플러스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다. 한 주간 최고 수익을 낸 펀드는 성장형 펀드에서 나왔다. 253개 성장형 펀드(설정규모 100억, 운용기간 1개월 이상)중 9개는 한 주간 수익률이 3%를 넘어섰다. 이 중 삼성투신 팀파워90주식형(3.74%)은 성장형 뿐 아니라 주식 관련 펀드 중 가장 높은 수익을 냈다. 이 펀드는 현재 주식투자비중은 84.87%며 비중은 높진 않지만 지수상승 시 유리한 선물매수포지션을 취하고 있다. 성장형 부분 운용사 수익률에선 랜드마크(3.14%)와 삼성투신(3.04%)이 3%를 웃도는 수익을 낸 것을 비롯해 15개 운용사가 2%를 웃도는 수익을 냈다. 최근 1개월 성과에서도 메이저 운용사인 삼성투신(11.75%)과 중소형사인 랜드마크투신(11.02%)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한 주간 채권형 펀드도 양호한 성과를 올렸다. 채권형 펀드는 한 주간 수익률은 0.16%로 이를 연율로 환산하면 8.20%에 달한다. 환매수수료 부과기간이 1년 이상인 장기 채권형 펀드의 경우 같은 기간 0.20%(연 10.63%)를 기록해 단기(0.16%)와 중기형 펀드(0.15%)를 앞질렀다. 같은 기간 채권시장은 장ㆍ단기 가릴 것 없이 연일 강세(금리하락)를 이어갔다. 지표금리인 국고 3년물의 경우 한 주간 0.11%포인트나 하락해 4.46%를 기록했다. 국고3년물이 4.4%대로 떨어지진 것은 4.50%를 기록한 지난 2001년 10월18일 이후 처음이다. 단기물로 분류되는 통안채 1년물은 같은 기간 0.12%포인트 하락해 국고3년과 같은 4.46%를 기록했다. 한편 한 주간 자금은 총 2조5,900억원이 감소해 여전히 체력은 약한 모습이다. 먼저 주식형 펀드(투신협회 기준)의 경우 주식혼합과 채권혼합형에서 한 주간 각각 1,160억원, 2,750억원이 감소했다. 반면 순수 주식형 펀드는 같은 기간 410억원이 증가, 규모는 크지는 않지만 자금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채권형 펀드에서는 5,900억원이 감소했고 유형별로는 단기 채권형 펀드에서 9,520억원이 빠져나갔지만 장기 채권형 펀드에서는 3,620억원이 순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형 펀드에서 자금유입이 컸던 것은 환매로 인한 자금유출이 적은 반면 농협CA투신 사모장기채권C 8(설정액 1,000억) 등 신규펀드 설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월말 자금수요 등으로 MMF에서는 한 주간 1조6,500억원이 감소해 현재 총수탁액은 34조8,980억원을 기록 중이다. <윤가람 (주) 제로인 펀드애널리스트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