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유가 배럴당 150弗 넘을수도"

중동 소요사태 사우디 등 확산 최악 상황땐<br>"원전 단기적인 접근 경계해야"… 尹재정, 수급 등 종합 고려 강조<br>에너지경제硏 전망


리비아 등 중동 사태 악화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130~14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또 농산물과 기초금속 등의 원자재도 일본 대지진 발생과 중동 정정불안으로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23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의에 중동 사태의 양상에 따라 국제유가(두바이유 현물가격)가 배럴당 150달러를 넘길 수 있다는 시나리오별 국제유가 전망을 보고했다. 연구원은 시나리오별로 중동 사태가 조기에 종결될 경우 두바이유는 배럴당 85~95달러로 낮아지고 리비아 소요사태가 악화되면 배럴당 12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알제리와 오만ㆍ예멘까지 중동 소요사태가 확산되면 130~140달러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사우디 아라비아 등 중동 주요국으로 소요사태가 확산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150달러 이상 폭등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연구원은 유가가 급등하더라도 산유국의 여유 생산능력을 고려하면 고유가 지속기간은 길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구원은 일본 대지진으로 정유시설 가동이 중단되며 역내 원유 수요는 감소하겠지만 석유제품 수입 수요가 늘어 원유가격 하락 압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또 액화천연가스(LNG)는 국제 잉여 공급물량을 고려하면 일본의 지진 피해에 따른 단기적인 가격 급등은 없겠으나 일본의 추가수요에 따라 LNG 현물가격의 점진적인 상승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회의에서 "에너지 지원의 수급변동에 따른 가격변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일각에서 일고 있는 원전에 대한 단기적인 접근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수급전략은 미래 전략의 근간"이라고 전제한 뒤 "원전 건설에 따른 효율과 비용, 수급전망,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제금융센터는 원자재 시장은 수급 불균형과 중동 정정불안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농산물은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성 물질 유출 여파에 따라 세계 최대 곡물수입국인 일본의 농산물 수입수요 확대로 수급여건이 더욱 빡빡해지고 기초금속도 높은 수준이 유지되겠으나 중국의 긴축 등에 따라 상승세는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제유가는 중동 국가들이 정정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재정지출 부담이 늘어 유가를 높은 수준으로 관리할 가능성이 있고 일본의 원전 발전 대체수요 등에 따라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금융센터는 엔화에 대한 전망으로는 단기적으로 일본 송금 증가와 캐리트레이드 청산 기대 등으로 강세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중기적으로는 일본의 펀더멘털 악화가 반영되면서 약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