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평 캠프마켓 유독물질 폐기의혹 파장 확산

SetSectionName(); 부평 캠프마켓 유독물질 폐기의혹 파장 확산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co.kr

주한미군이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에서도 독성물질을 폐기 처리했다는 보고서가 공개되자 지역 단체들과 주민들이 기지 내부 환경 오염조사를 촉구하고 나서는 등 파장이 커지고 있다. 재미언론인 안치용씨가 지난 24일 공개한 미 육군 공병단 보고서에 따르면 주한미군이 지난 1989년 캠프마켓에 독성물질인 폴리염화비페닐(PCBs) 448 드럼을 한국 처리업자를 통해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관련 기록이 공개되지 않아 독성물질이 매립됐는지 혹은 방류됐는지 처리방법조차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보고서가 공개되자 인천지역 정당 및 시민ㆍ환경단체들은 25일 캠프마켓 정문 앞에서 기지 내부 환경오염 조사와 미국 정부의 공식 사과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지 오염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규명을 위해 민간과 지방자치단체도 참여하는 한ㆍ미공동조사단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고 미 정부에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했다. 캠프마켓은 지난 2008년과 2009년 2차례에 걸친 기지 주변 환경조사에서 이미 토양ㆍ수질의 오염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들의 요구와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PCBs가 캠프마켓에서 처리됐을 거라고 생각도 못했기 때문에 지난 1, 2차 환경조사 때는 PCBs를 조사 항목에 넣지도 않았다”며 “이 부분을 추가해 기지 내부와 주변을 전면 재조사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또 캠프마켓 내 폐품처리소인 DRMO 조기반환을 위한 한ㆍ미협상이 진행 중이지만 환경 오염조사와 오염자부담원칙에 따른 미군의 책임 규명이 협상 타결에 선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 정당과 환경ㆍ시민단체는 이른 시일 내 미 정부와 미군 측에 주한미군 감사자료와 폐기물 처리 관련 자료를 요청해 검토한 뒤 공동 행동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부평구 주민들은 캠프마켓 내 유독성 물질 처리 의혹이 제기된 데 대해 불안한 심정을 토로하며 진상 규명을 요구했다. 산곡동 주민 송모(46)씨는 "미군이 처리했다는 물질이 인체에 굉장히 유해한 물질이라고 들었다. 의혹을 하루 빨리 규명해 불안을 해소해달라"며 "기지 주변에 학교가 몰려 있어 유독물질이 아이들에게 영향을 미쳤을까 봐 제일 걱정"라고 말했다. 부평구와 환경부 산하 환경관리공단이 지난 2009년 발표한 부평미군기지 2단계 환경기초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5개 구역 중 3개 구역의 토양에서 석유계총탄화수소(TPH)ㆍ벤젠ㆍ구리ㆍ납ㆍ니켈 등의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평구 산곡동 일대 부평미군기지는 전체 면적이 60만6,000㎡ 규모로, 산림청과 국방부가 부지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인천시는 정부 지원을 받아 해당 부지를 매입한 뒤 공원(43만㎡), 도로(6만1,000㎡), 체육시설(4만7,000㎡), 문화ㆍ공연시설(3만5,000㎡)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1968년 DMZ에 고엽제 대량살포' 관련사진 보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