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내경제] 금융시장 日쓰나미 후폭풍 촉각

일본 대지진 발생 직후 지난 11일 밤 개장한 미국 뉴욕 금융시장의 반응은 차분하다 못해 냉정했다. 다우지수는 올랐고, 본국으로의 송금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엔화는 오히려 강세를 보였다. 그렇다면 국내 금융시장도 미국의 전철을 따를 수 있을까. 산업계를 포함한 경제 전반의 영향은 좀 더 차분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지만, 당장 우리에게 관심은 국내 시장이 14일부터 며칠 동안 어떻게 반응할 지다. 국제금융시장이 빠르게 안정을 되찾은 만큼 국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지만, 우리 산업과의 연관 관계가 워낙 큰 탓에 속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어떤 형식으로든 부정적 영향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맞을 것이다. 일본 대지진에 모든 관심이 쏠려 있지만, 이번 주에는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일정들이 많이 기다리고 있다. 오는 17일에는 국무총리실 산하 새만금위원회가 '새만금종합개발계획'을 확정 발표한다. 연구 용역을 맡은 국토연구원은 지난해 연말 공정회를 열고 세계 최대 신재생 에너지 단지를 포함한 새만금종합개발 계획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바 있다. 관심을 모아온 금융위원회의 저축은행 종합대책도 주 중반에 발표된다. 대책에는 저축은행의 외형확대 경쟁을 차단하고 대주주의 경영진의 책임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우량저축은행에 대해 동일인 대출한도를 완화하는 '88클럽'을 6년 만에 폐지하고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의 여러 시행사에 대한 대출한도 적용을 손질할 것으로 보인다. 또 저축은행 간 인수합병(M&A)을 제한하는 내용도 담겼다. 지표 중에서는 역시 16일 통계청이 발표하는 2월 고용 동향을 볼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설 명절 연휴로 인한 계절요인과 구제역 등에 따른 축산부문의 일자리 감소로 실업률이 1월(3.8%)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지표는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할 1월중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현황이다. 최근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이자부담이 커지고 있어 가계 부채 규모가 올들어 얼마나 늘어났을지 관심이다. 지난해 말 가계부채는 800조원에 육박할 만큼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금융위원회는 이르면 이번주말, 늦어도 다음주에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연장 여부를 포함한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인데, 이번 지표가 어느 정도 참고 자료가 될 듯하다. 이를 위해 이번주부터 관계 부처간에 본격적으로 의견 수렴에 들어간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