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5월 18일] 삼성전자의 사상최대 투자에 담긴 전략

삼성전자가 올해 사상 최대인 26조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내놓음에 따라 관련산업은 물로 국내경제 전반에 큰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1만여명의 신규 인력을 채용하기로 함에 따라 일자리에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건희 삼성 회장은 "지금 세계경제가 불확실하고 경영여건의 변화도 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런 시기에 투자를 더 늘리고 인력도 더 많이 뽑아 글로벌 사업기회를 선점해야 한다"고 대규모 투자에 나선 배경을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투자확대는 급증하는 글로벌 IT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선제적 투자를 통해 시장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올 들어 반도체ㆍLCD시장은 스마트폰, 디지털TV 보급 확대, 모바일기기 첨단화 등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반도체 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는 올해 세계 반도체시장만도 3,000억달러로 전년 대비 30.6%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말 그대로 IT르네상스를 맞고 있다. 삼성전자가 올 초 경영계획에서 8조원 정도로 잡았던 신규투자 규모를 3배로 늘린 것도 이 때문이다. 경쟁기업들이 주춤거릴 때 과감한 투자를 통해 '승자효과'를 최대한 살리고 후발주자와의 격차를 더욱 벌리겠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번 반도체ㆍLCD 투자 확대는 친환경ㆍ헬스케어 등 신수종 사업에 대한 향후 10년간 23조원 규모의 투자계획에 이어 나온 것이어서 더 의미가 크다. 투자는 기업수익의 기반이자 경쟁력의 원천이다. 특히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제위기의 와중에서 시장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은 어려울수록 움츠러들지 않고 과감한 투자에 나서는 공격경영 덕분이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충격이 어느 정도 가라앉았다지만 유럽의 재정위기, 중국의 긴축 움직임 등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삼성이 잇단 대규모 투자에 나서기로 한 것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결단이라 할 수 있다. 위험을 기피하면 큰 이익도 기대하기 어렵다. 삼성의 과감한 투자가 성공을 거둬 일류기업의 위상을 다지고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 확실시된다. 과감한 투자를 앞세운 삼성의 공격경영이 머뭇거리고 있는 다른 국내 기업들에도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