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 연구·개발(R&D) 투자가 바이오·나노·환경 등 차세대 원천기술 확보에 집중된다. 또 정보통신기술(ICT)과 소프트웨어 융합 기술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과학기술·ICT 분야 주요 R&D 사업 예산을 지난해보다 7.9% 늘어난 3조9,520억원으로 하는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이중 바이오·의료·나노·첨단융합기술개발 등 과학 원천기술개발 예산을 지난해 4,854억원보다 16.3% 늘린 5,620억원으로 정했다. ICT 분야 기술개발 사업도 지난해보다 4.4% 늘어난 7,723억원을 투여해 미래 먹거리가 될 신산업 기반을 우선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세부적으로는 생명공학기술(BT) 신산업의 R&D부터 생산·규제 해소·마케팅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해 글로벌시장 진출을 적극 추진한다. BT 원천기술에 ICT 기술을 융합한 융합형 기술 개발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나노기술(NT) 분야는 올해부터 창의 소재 디스커버리 사업을 새롭게 시작하고 신소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환경공학기술(ET) 분야는 2차전지·바이오에너지·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CCS)·태양전지·연료전지·전력 정보기술(IT) 등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6대 부문을 중심으로 핵심 기술 연구개발 성과 도출에 집중한다. 이밖에 생활환경·재난안전·격차해소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도 추진한다. 고서곤 미래부 연구개발정책과장은 "미래에 필요한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전반의 혁신 유도와 신산업을 창출을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ICT 부문에서는 창조융합·이동통신·네트워크·기반 소프트웨어(SW) 및 컴퓨팅·융합SW, 스마트 서비스, 전파-위성 방송·디지털 콘텐츠·정보보호 등 10대 전략 분야에 집중한다. 특히 스마트 자동차·지능형 반도체·무인 이동체를 위한 ICT·SW융합 핵심 기술 개발이 주요 대상이다. 시장 수요 급증이 예상되는 분야에는 중소·중견기업에 추가 연구개발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고 과장은 "대학·정부 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과 사업화 자금을 묶어 중소기업에 제공하고 과학기술 특성화대학의 우수한 연구성과와 고급인재를 활용한 기술 사업화도 지원할 것"이라고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