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물류대란' 또 오나

철도 노조·화물연대 16일 새벽 4시부터 파업 돌입키로<br>15일밤 막판교섭 입장차 못좁히고 진통<br>정부, 대체기관사 투입등 비상대책 수립


'물류대란' 또 오나 철도 노조·화물연대 막판교섭 입장차 커 밤샘 진통정부, 대체기관사 900여명 투입등 비상대책 수립 이재용 기자 jylee@sed.co.kr 관련기사 • 철도·화물연대 파업시 업계 대응책은? • 철도-화물 동시파업 '파장 극대화' 노려 • [기자의 눈] 국민 생각하며 대화 나서라 교통 및 물류 대란이 현실화할 것으로 보인다. 철도 노사는 15일 오후 8시부터 코레일 서울지사에서 이철 코레일 사장과 엄길용 철도노조 위원장 등이 참여한 가운데 본교섭을 가졌지만 성과 없이 끝났고 이후 집중교섭에 나섰으나 양측의 의견차가 팽팽해 상당한 진통을 겪었다. 철도 노사는 이날 자정을 넘기면서까지 교섭을 계속하며 막판 타결을 위한 실낱 같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화물연대 역시 이날 오후 건설교통부와 마지막 협의를 가졌지만 결국 입장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에 따라 철도노조와 화물연대가 사상 처음으로 16일 새벽 4시를 기해 공동 집단행동에 돌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관련기사 3면 육상 운송의 양대 축이자 서로 보완관계에 있는 철도와 화물차량이 동시에 집단행동에 들어가게 되면 당장 16일 아침 출근길 시민은 물론 기업들의 피해가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철도노조는 이날 중앙노동위원회가 내놓은 단체협약과 같은 효력을 갖는 중재안을 거부, 불법파업에 나섬으로써 거센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정부는 철도노조와 화물연대가 집단행동에 나서는 것과 관련해 하루 평균 269만명의 여객 수송과 20피트 짜리 컨테이너 7,870개의 운송이 차질을 빚을 것으로 추정했다.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철도노조 파업시 열차 운행은 평상시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게 돼 출퇴근길 시민 및 주말 여행객들이 큰 불편을 겪을 전망이다. 열차별로는 KTX의 운행이 평상시의 36.8% 수준으로 줄어들고 수도권전철은 51.9%, 화물열차는 17.6%의 운행률만을 보일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화물연대 차량과 화물열차가 동시에 운행을 중단하면 일일 물동량의 28%에 해당하는 7,870TEU(20피트 짜리 컨테이너) 정도의 수송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이 경우 납기를 제때 맞춰야 하는 수출품 등의 피해가 특히 심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와 관련, 물류업계는 운송 스케줄을 조정하고 추가 차량을 확보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정부 역시 900여명의 대체 기관사를 투입하고 화물연대 미가입 차량과 자가용 화물차를 최대한 활용하는 등의 비상교통대책을 마련, 파업 즉시 시행할 계획이다. 입력시간 : 2007/11/15 17:42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