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특파원 칼럼/12월 8일] 눈앞에 다가온 오바마의 선택

중간선거 이후 사면초가에 몰린 오바마 대통령이 2012년 대선을 위해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할 지가 주목을 받아왔다. 길은 진보의 기치를 내걸고, 공화당과 강경대응을 마다하지 않거나, 아니면 타협을 통해 상생을 모색하는 것 등 두 가지 가운데 하나다. 둘 다 모범사례가 있다. 해리 트루먼은 1946년 중간선거에서 하원 의석 55석을 잃었고, 빌 클린턴은 1994년 선거에서 하원 54석을 잃었음에도 두 사람은 모두 2년 뒤 대통령선거에서 승리를 쟁취했다. 그러나 두 대통령의 선택은 극과 극으로 달랐다. 1946년 4번째 임기를 시작한 석달 만에 서거한 프랭클린 루즈벨트를 이어 대통령에 오른 트루먼은 중간선거에서 패배 후 사실상 임시대통령쯤으로 치부됐다. 그러나 그는 1947년 노동자들의 권리를 대폭 제한하는 테프트- 하틀리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진보진영의 지지를 얻었다. 1948년 국정연설에서는 한발 더 나아가 건강보험과 교육, 농업에 대한 투자확대, 최저임금 인상 등을 내걸었다. 그는 공화당과 격돌을 불사했고, 결국 지지도 조사에서 20%이상의 격차를 뒤집고 대선에서 승리했다. 그의 한판 뒤집기는 ‘트루먼 효과(Truman Effect)’라는 조어까지 만들어냈다. 1994년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에 40여년 만에 상ㆍ하원을 내준 빌 클린턴 대통령은 달랐다. 그는 ‘중도’로 방향을 급선회했다. 선거에서 그를 옭아맸던 건강보험 개혁이나 증세, 동성애자에 대한 권익보호 등은 과감히 던져버렸다. 초당적 협력을 강조한 1995년 국정연설에서 그는 노선전환을 분명히 했다. 그는 공화당을 향해“ 만약 우리가 오늘 합의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면, 92년과 94년 선거에서 국민들이 변화를 위해 투표했다는 것만이라도 합의를 해야 한다”고 외쳤다. 오바마 대통령은 과연 어느 길을 선택할 것인가. 부시 대통령 때 만들어진 감세연장 문제와 관련, 오바마 대통령과 공화당은 타협에 성공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가 그토록 반대해왔던 부유층에 대한 감세를 연장하는 대신, 실업보험 급여 연장을 얻어냈다. 이를 통해보면 그는 트루먼 보다는 클린턴 쪽으로 기운 듯 하다. 그의 선택은 내년 국정연설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