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당국 "부실 저축銀 처리 묘수없나"

은행에 인수 손짓 불구 'PF불똥'탓 시큰둥한 반응으로 골머리<br>증권사·사모펀드도 꺼려 최악땐 영업정지 외통수


금융감독 당국이 부실 저축은행 처리를 두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동안 대형 저축은행들이 부실 저축은행을 떠안는 방식으로 처리를 해왔지만 추가로 꺼낼 카드가 없기 때문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당국은 부실 저축은행을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으나 뾰족한 방법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증권사와 사모펀드들이 부실 저축은행에 관심을 보이고는 있지만 인수까지 이어지는 사례가 드물어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당국은 이에 따라 은행의 서민금융 역할을 제고하는 방안으로 은행이 저축은행을 인수해 영업하는 방안도 조심스럽게 검토하고 있다. 금융 당국의 한 관계자는 "현재 한 시중은행이 저축은행을 인수하려는 사모펀드에 유한투자자(LP)로 참여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당국이 은행의 저축은행 인수를 검토하는 것은 부실 저축은행을 가져가려는 곳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은행이 저축은행 인수에 나서 업계의 안정을 꾀하고 서민금융도 늘리려는 이중 포석이라는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리먼브러더스 사태 직후 대전저축은행이 부실화되자 국민은행에 인수할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은행은 물론 투자자들이 부실 저축은행 인수를 꺼린다는 점이 문제다. 이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이 어디로 튈지 알 수 없는데다 숨겨진 부실도 가늠하기 힘들어서다. 최근까지 사모펀드를 구성해 하나로저축은행의 인수를 추진하던 SBI코리아홀딩스는 계약금액 납부가 지연되다 결국 인수를 포기했다. 추가 인수자를 찾기 힘들자 저축은행중앙회가 업계의 마지막 방어선인 구조개선적립기금을 활용해 인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인당 5,000만원인 예금보장한도보다 많은 돈을 맡긴 이들이 3,550명에 달하는 전북 전일저축은행도 지난해 말까지 한 사모펀드가 인수하려고 했지만 인수대금을 마련하지 못해 끝내 영업정지를 당했다. 대형 저축은행인 미래가 지난해 인수했던 부실 저축은행인 한일도 미래 측이 무한책임투자자(GP)로 참여했지만 현대스위스와 제일 등 주요 저축은행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30억~40억원씩 투자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추가 부실 업체가 나올 경우 이를 처리할 방안이 마땅찮다는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주요 대형 저축은행은 부실 저축은행을 하나씩 떠안았고 더 이상 인수할 만한 여력이 없다"며 "현재 부실 저축은행을 좋아서 인수하는 곳이 없는 상황인데 앞으로 부실 저축은행이 또 나오면 사실상 영업정지로 가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