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소공인 업종별 맞춤 지원 강화

수제화 공동브랜드 개발하고 봉제 디자인 개선 돕고…<br>중기청, 내년부터… 시설개선 등 3000억 융자도


-수제화·기계 금속가공 등 수출 역량 강화…3,000억원 투입

-소상공인,전통시장에는 ICT 플랫폼 구축, 유통 간소화 추진

내년부터 제조업의 근간을 이루는 소공인들에 대한 업종별 맞춤형 지원이 강화된다.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은 7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진흥공단에서 ‘소상공인·전통시장 자생력 제고 대책’브리핑을 갖고“소공인은 제조업의 81%를 차지하며 부품생산, 조립, 가공 등 전공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소공인 쇠퇴시 전후방에 관련된 종사자와 기업까지 동반 침체 및 산업공동화 우려가 있다”며 “소공인의 현장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업종 특성에 맞는 지원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중기청은 우선 수제화 업종은 공동브랜드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봉제는 디자인 능력 향상과 제조환경 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통공예는 페스티벌 개최 등 판로확보와 마케팅을 지원하고 기계‧금속가공은 협업 활성화 및 수출역량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또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통해 직접지구를 밀착 지원한다. 전담매니저를 배치해 지원사업 기획‧집행, 경영대학 운영 등 경영역량을 향상을 꾀한다. 소공인의 경영 혁신 및 시설개선을 위해 3,000억원의 융자금도 마련했다.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에 대해서는 상권정보와 판매체계 개선을 위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플랫폼을 구축하고 농산물 유통구조를 대폭 간소화하기로 했다. 한 청장은 “7억4,000만여건의 빅데이터, 도로·건물·지형 등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활용한 상권정보시스템의 고도화와 상권분석, 교육 등의 지원정보를 실시간으로 일괄 제공하는 소상공인 지원 ICT 융합 플랫폼을 내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골목상권과 농산물 생산자간 1일 배송 유통망 구축을 위해 골목수퍼의 경우 내년부터 2~3개 지자체, 200개 점포를 대상으로 시범운영 후 성과를 바탕으로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나들가게도 내년부터 '온라인 주문·배송 시스템'을 도입한다.

중기청은 소상공인·전통시장의 체계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내년에 `소상공인지원법'을 제정하는 한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기금 설치도 계획대로 추진키로 했다.


최용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