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블랙 프라이데이' 美 경기회복 이끄나

효과… 예전보다 못해

미국 최대 쇼핑 대목인 ‘블랙프라이데이’(미국 넷째주 목요일 추수감사절 다음날)가 미국 경기 회복의 신호탄을 쏘아 올릴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올해 블랙프라이데이 약발이 예전보다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적지 않은 상황이다. 앞서 발표된 미 경기 지표들이 양호한 실적을 보이며 미 경기가 블랙프라이데이 효과로 회복가도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미국인의 소비 패턴 변화로 블랙프라이데이가 예전처럼 경제 회복의 촉매제가 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미국 경제 전문 채널 CNBC는 25일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미국 경기 회복을 점치는 전망들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블랙프라이데이가 미 경제 회복의 기폭제라는 오랜 고정관념이 깨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경기가 블랙프라이데이에 기대를 걸고 있는 이유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국내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달하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는 소비가 쥐락펴락 한다고 할 정도로 내수 소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특히 연말 쇼핑이 절정을 이루는 블랙프라이데이에 늘 주목해 왔다.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발표된 미 경제지표들도 미 경기 회복 전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24일 발표된 10월 개인소비 지출은 개인소득 증가에 힘입어 전달대비 0.4% 증가, 5개월 연속 상승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장기화된 경기침체로 미국인들의 소비패턴이 바뀌면서 블랙프라이데이 효과를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소비자들이 매장보다는 저렴하게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온라인 매장으로 몰리고 있는데다 할인 폭이 커지는 쇼핑시즌 막바지까지 구매시기를 미루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CNBC에 따르면 지난 해 1,800만 명의 성인이 블랙프라이데이에 맞춰 쇼핑에 나섰지만 올해는 1,500만 명 이하가 될 것으로 보인다. CNBC는 “블랙프라이데이가 더 이상 미국 경기 회복의 성패를 가늠하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