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북한 체류자들 속속 철수

천안함 사고 조사결과 발표 앞두고 긴장감 최고조<br>통일부, 철수 권고 시인

김태영(왼쪽부터) 국방장관, 김성환 외교안보수석,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20일 예정된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 심각한 표정으로 대화하고 있다. 왕태석기자

SetSectionName(); 북한 체류자들 속속 철수 천안함 사고 조사결과 발표 앞두고 긴장감 최고조통일부, 철수 권고 시인 권대경기자 kwon@sed.co.kr 김태영(왼쪽부터) 국방장관, 김성환 외교안보수석,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20일 예정된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 심각한 표정으로 대화하고 있다. 왕태석기자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북한 내 체류 중인 우리 국민들이 속속 귀환하는 등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남북 간 긴장감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18일 "최근 남북 간 엄중한 상황을 고려해 지난주 대북 사업자 등에게 신변안전에 유의해줄 것을 여러 경로를 통해 당부했다"며 사실상의 철수 권고를 시인했다. 정부의 천안함 사고 조사 결과 발표가 임박한 상황에서 북한 내 체류 중인 국민들의 '신변안전'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는 무엇보다 오는 20일로 예정된 천안함 사고 조사 결과 발표에 앞선 조치, 대북교역 전면 중단 등의 사전 정지작업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개성공단 빼면 46명만 체류=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잠정 집계된 북한 내 우리 국민은 총 881명이다. 그러나 개성공단 835명을 제외한 지역에서의 체류 인원은 개성지역 31명과 금강산 관광지구 14명, 평양 1명으로 총 46명뿐이다. 통일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고려 왕궁터인 개성 만월대 발굴조사에 나섰던 남측 발굴팀 11명이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모두 철수했다. 만월대 발굴조사단은 지난 3월 중순부터 개성에서 발굴작업을 벌여왔으며 당초 6월10일께 철수할 예정이었다. 또 전날에는 북측 해주와 고성 지역에서 모래 채취를 하던 선박과 인력이 모두 철수했다. 최근에는 금강산에서 샘물 사업을 하는 모 기업이 정부에서 북측 지역 체류를 제한해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이 기업 4~5명의 기술진은 지난주까지 북측에 머물렀지만 정부 당국의 요청에 따라 모두 철수했다. ◇천안함 외교 '속도'… 중국 설득에 초점=정부의 천안함 외교도 속도를 더해가고 있다. 이날 이명박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화통화에 이어 다음주 25일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 방한과 7월 한미 양국의 2+2 외교ㆍ국방 장관 회담과 같은 외교일정이 정부의 천안함 외교에 한층 힘을 더해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9일 중 중국ㆍ러시아ㆍ일본 등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등 30여 개국에 천안함 조사 결과 사전 브리핑을 실시할 방침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