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리빙 앤 조이] 보다 빨리 움직이고 빨리 먹어라

'표준화 조기회복 프로그램' 성과<br>대장암 환자 입원기간 단축<br>한솔병원 조용걸 박사


대장암으로 대장ㆍ직장의 일부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보다 빨리 움직이고 먹게하는 ‘표준화 조기회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입원기간이 4일 가까이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솔병원 대장암복강경수술센터 조용걸(사진) 박사는 지난해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대장ㆍ직장 절제 수술을 받은 환자 78명에게 조기회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통상적인 방법으로 회복한 환자군(69명)에 비해 입원일수는 33% 이상, 항생제 투여일수는 60% 이상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표준화 조기회복 프로그램’은 수술받은 환자들에게 운동에 속도감을 갖게 하고, 가스가 나오기 전에 음식 섭취를 허용하거나, 수액을 제한하고 약물을 투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빠른 회복을 유도하는 치료 방식이다. 현재 이 프로그램은 미국과 유럽 등에서 활발히 시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지난 해부터 몇몇 대학병원에서 부분적으로 도입해 적용하고 있다. 불필요한 환자의 입원기간을 줄여 환자의 빠른 사회복귀를 돕고 의료비용을 줄이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조 박사팀에 따르면 표준화 조기회복 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의 평균 입원일수는 7.12일로 기존 수술법으로 치료 받은 비표준화그룹 환자들의 입원기간 10.72일에 비해 3.6일 정도 줄어들었다. 합병증 발생률과 재입원율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항생제 주사 투여일수도 표준화그룹이 2.79일로 비표준화 그룹의 7.73일보다 60% 이상 단축됐다. 적은 항생제 투입에도 불구하고 상처 감염 증상을 보인 환자는 비표준화그룹의 8건(11.5%)보다 적은 1건(1.28%)에 그쳤다. 수술 후 투여한 수액량도 표준화그룹이 8.8ℓ로, 비표준화그룹의 19ℓ보다 크게 작았다. 장 운동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수술 후 하루가 채 지나지 않아 음료를 마시도록 허용(평균 0.88일)해 기존(2.71일)에 비해 3배 이상 빨리 수분을 섭취토록 했다. 조 박사는 “조기회복 프로그램이 합병증이나 재입원율을 늘리지 않는 것은 물론 수액과 항생제 투여량, 입원기간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의사가 하루에 세 번 이상 수술 받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야 하는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최근 열린 대한대장항문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돼 우수연제학술상을 받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