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 '하향 도미노'

모건스탠리, 4.3%서 3.8%로 낮춰…국내기관도 수정중<br>맥쿼리증권은 2.5%까지 전망


국내외 예측기관들이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잇달아 하향 조정하기 시작했다. 하향 조정의 폭도 매우 커서 2~3%대의 저 성장을 예상하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내년 우리 경제가 사실상 뒷걸음질을 친다는 얘기다. 모건스탠리는 8일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4.3%에서 3.8%로 낮춘다고 밝혔다. 경기침체의 골이 당초 예상보다 깊어지면서 한국은행의 금리동결은 올 연말까지 유지되다가 내년 1월부터는 금리인하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됐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행은 내년에 총 1.25%포인트의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며 “한국 내수는 내년 말까지 살아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기업들이 원화가치 하락과 유동성 부족으로 설비투자를 줄이면서 내수소비가 위축된다는 것이 모건스탠리가 제시한 한국 경제 시나리오다. 이는 최근 국내 민간연구소 중에 처음으로 내년 경제전망을 내놓은 한국경제연구원의 내년 성장률 예측(3.8%)과도 일치한다. 3%대는 그나마 양호한 전망이다. 맥쿼리증권은 한국이 올 4ㆍ4분기부터 경기침체기에 돌입했다며 내년 경제성장률을 종전의 4.0%에서 2.5%로 대폭 낮춰 잡았다. 맥쿼리는 이날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 3.8%에서 내년에는 2.5%로 크게 위축될 것”이라며 “분기별 수치로는 4ㆍ4분기부터 시작된 경기침체기가 내년 2ㆍ4분기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맥쿼리의 전망대로라면 두자릿수의 고공행진을 보였던 수출은 내년에 6% 성장으로 급속 둔화되고 경기가 나빠지면서 소비자물가는 2.5~3.5% 수준인 한국은행의 타깃 범위까지 떨어지게 된다. 결국 내년 한국 경제의 성장속도는 물가 상승 속도에도 못 미쳐 사실상의 ‘마이너스 성장’이 이뤄지게 되는 셈이다. 국제 투자은행(IB)들의 이 같은 전망은 국내 예측기관들의 전망치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연구기관들은 급변하는 금융시장 상황과 경제여건을 감안해 내년 전망치 발표를 늦춰왔지만 3%대 후반~4%선에서 마무리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4.7%, 내년 5.0%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고수해오던 정부도 뒤늦게 입장을 바꾸기 시작했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최근 한 라디오방송에서 미국발 금융위기의 폭과 깊이에 따라 “조정이 필요하다면 필요한 만큼 조정해야 한다”며 내년 성장률 하향조정 가능성을 언급했고 재정부도 최근 국감 업무보고에서 “국제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전파되면서 올해 우리 경제가 당초 예상했던 4%대 후반의 성장률을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