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종합]北 “비밀접촉 녹음기록 공개 할 수도”

우리 정부 부인하자 녹음기록 공개로 압박 <br>음성녹음 그대로 공개될 경우 정부 신뢰도 타격 불가피

우리정부가 북측이 지난 1일 공개한 남북 비밀접촉에 대해 “정상회담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사과와 절충안 애걸한 적 없다” “정상회담 일정별로 제안 안했다” “돈봉투 내놓고 망신당하지 않았다” 등의 해명을 내놓자 북한은 9일 접촉 당시의 녹음기록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은 특히 김천식 통일부 정책실장, 김태효 청와대 대외전략비서관, 홍창화 국정원 국장 등의 발언과 행동 하나하나까지 거론하면서 우리정부를 압박했다. 만약 북한의 주장대로 비밀접촉에 참석했던 우리정부측 인사들의 발언 내용이 음성을 통해 공개될 경우 이를 부인했던 정부의 신뢰도 타격은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녹음기록까지 공개되면 남북의 대화는 현정부에서는 사실상 끝날 것으로 전망돼 남ㆍ북의 경색구도는 심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비밀접촉에 나섰던 국방위 정책국 대표는 이날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문답을 통해 “(김태효, 김천식, 홍창화) 모두가 끝끝내 진실 밝히기를 거부하고 동족기만과 모략날조에 매달린다면 우리는 불가피하게 접촉 전 과정에 대한 녹음기록을 만천하에 공개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양측은 당국간 회담뿐만 아니라 적십자회담 등 각급 회담과 접촉이 이뤄질 때마다 관례적으로 녹음기 등을 이용해 논의내용을 기록한다. 정책국 대표는 이번 접촉 관련 우리 정부의 해명에 대해 소상히 반박했다. 먼저 ‘정상회담 개최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 해명에 “김천식은 이번 비밀접촉은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대통령의 직접적인 지시와 인준에 의해 마련됐다면서 그 의미를 부각시켰다”며 “통일부 장관 현인택이 직접 접촉의 전 과정을 주관하고 있으며 청와대에도 그가 단독선을 통해 상황보고를 하고 있다고 했다”고 주장했다. 또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사과 절충안을 논의하지 않았다’는 주장에도 “그들은 북측에서 보면 사과가 아니고 남측에서 보면 사과로 간주되는 절충안이라도 내놓자고 빌붙었다”며 “그것도 통하지 않게 되자 나중에는 최소한 유감이라도 표시해주면 그것을 사과로 받아들이고 지금까지의 대결정책도 철회할 것이고 정상회담도 빨리 추진할 수 있다고 했다”고 반박했다. ‘정상회담 일정을 제안한 적이 없다’는 우리측 설명에 대해서도 “김태효는 현 당국은 시간이 매우 급하다면서 대통령의 의견을 반영해 작성했다는 일정계획이라는 것을 내놓았다”며 “말레이시아에서 비밀접촉을 한번 더 가지고 뒤따라 장관급회담을 한 후 6월에 판문점에서, 8월에는 평양에서, 다음해 3월에는 서울에서 핵안보정상회의가 진행되는 기간에 정상회담을 연속 갖자는 시간표였다”고 맞받았다. 돈봉투와 관련해서도 밝혔다. 북측은 “접촉이 결렬상태에 이르게 되자 김태효의 지시에 따라 홍창화가 트렁크에서 돈봉투를 꺼내 들자 김태효는 그것을 우리 손에 쥐어주려고 했다”며 “우리가 즉시 처던지자 황급히 돈봉투를 걷어 넣고 우리 대표들에게 작별인사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북측은 “당시 김태효는 얼굴이 벌개져 안절부절 못하였으며 홍창화는 어색한 작으로 트렁크에 황급히 돈봉투를 걷어 넣었다”면서 자세한 설명까지 곁들였다. 돈봉투가 숙식비용이었다는 우리측 해명에는 “우리 대사관에서 숙식과 운수수단을 보장했다는 것을 모르지 않는 그들이 우리 대사관에 체류비를 섬겨바치려고 돈봉투를 마련했겠느냐”고 반문했다. 한편 비밀접촉에 대해 녹음기록이 있는 것으로 드러날 경우 이를 적극부인 했던 통일부 장관의 발언도 도마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지난 2일 국회에 출석해 “녹취록은 없다”고 단호한 입장을 내비친바 있다. 이에 대해 박지원 민주당 전 원내대표는 “비밀접촉, 반드시 (녹취록이) 있다”면서 “우리 정부가 그런 게 없다고 하면 (북한이)녹취록을 공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