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지방銀, 시중銀 영토뺏기 속도낸다

연고지 법원공탁금·각종금고 유치 잇달아

지방은행들이 잇따라 연고지의 법원 공탁금은 물론 금고와 대학교 자금 유치에 성공, 서울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들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있다. 26일 은행권에 따르면 대법원은 광주ㆍ부산ㆍ충청하나은행을 각 지역의 지방법원 공탁금 보관은행으로 지정했다. 이는 지난해 지방은행 협의회가 ‘지방법원의 공탁금은 지방은행에 맡겨야 한다’는 내용의 건의문을 국회에 제출, 대법원이 받아들인 것이다. 이에 따라 지방은행들은 그동안 신한은행 등 서울 본점 시중은행이 맡아온 법원 공탁금 보관업무를 할 수 있게 됐다. 부산은행의 한 관계자는 “부산시민의 86%가 부산은행과 거래하는 만큼 신규로 유입되는 공탁금 대부분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법원공탁금의 경우 예금 이자가 일반 예금에 비해 크게 낮아 여신자금으로 활용할 경우 은행에 큰 수익이 발생한다. 지난해 대구ㆍ부산 지방법원의 공탁금 규모는 각각 1,800억원, 1,300억원에 달해 이번에 공탁금 보관업무를 맡게 된 지방은행들의 순이자마진(NIM)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은행권에서는 관측하고 있다. 아울러 지방은행들은 각 연고지에서 그동안 시중은행들에 빼앗겼던 대학교 및 각종 금고 자금 유치에 적극 나서 큰 성과를 얻고 있다. 경남은행은 최근 옛 조흥은행이 30년간 지켜온 울산대 금고 보관은행으로 새롭게 지정됐으며 부산은행은 증권선물거래소ㆍ부산롯데호텔 카지노ㆍ부산교통공사 금고 등을 유치했다. 경남은행의 한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과 지방의 자금이 서울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 앞으로 마산ㆍ창원 등 본점 인근의 금고 대부분을 유치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