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학교시설에 민간자본 유입 늘린다

교육부, 작년보다 48%나

올해 대학 등 학교 시설에 대한 민간자본의 유입이 더욱 확대된다. 이와 관련, 지역 중소건설업체들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도 적극 시행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14일 올해 BTL(건설-이전-임대) 방식에 의한 민간자본 유치 목표액을 지난해(2조1,325억원)보다 48% 증가된 3조 1,486억원으로 정했다고 밝혔다. 학교별로는 초ㆍ중ㆍ고교가 신축 194교, 개축 73교, 체육관 323교 등이며, 대학으로는 부산대, 안동대, 전북대, 서울교대 등 4개교가 기숙사 신축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특히 올 공사에 지역중소건섭업체들의 참여를 크게 활성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역중소건설업체들의 의무 시공비율을 지난해 40%->49%로 높이는 대신, ▦ 출자비율은 40%에서 20%로 절반이상 낮춰 이들 업체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또 ▦공사비 70억원 이하 사업은 지역중소기업 업체들만 참여를 허용하는 방안을 4월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학교 건물등에 대한 BTL사업은 초기 투자를 출자회사들이 맡고 3년이후부터 20년간 5년만기 국공채기준금리로 교육부와 지역 교육청이 원리금을 분할 상환한다. 교육부는 올해 시행되는 공사에 따라 건설업 관련직종 6만5,490명과 신설학교 교사 추가 채용 1만1,215명 등 총 7만6,705명의 일자리가 새로 창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