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軍, 강원도서 실탄·수류탄 분실 '곤혹'

육군이 지난 8일 강원도 모 부대에서 발생한 K-2 소총 분실사건을 두고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 지난 8일 K-2 소총 두 정이 분실되자 즉각 국민에 공개했던 것과는 달리 사건을조사하면서 실탄 700발과 수류탄 6발이 비는 것을 추가 확인했지만 이를 공개하지않은 것은 물론 급기야는 사실 관계를 문의한 언론에조차 수사가 진행중이라는 이유로 확인을 거부, 덮기에 급급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총기 분실만 알려졌을 당시인 8일 육군은 "탄약에는 이상이 없다"고까지공언, 당시 조사가 제대로 진행됐었느냐는 비난도 잇따랐다. 일부에서는 총기 뿐 아니라 실탄과 수류탄까지 분실했을 가능성이 외부에 알려질 경우 해이해진 군 기강에 대한 비난의 화살이 쏟아질 것을 우려해 덮으려 했던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육군은 실탄과 수류탄이 장부상의 숫자와 맞지 않는다고 해서 분실됐다고단정짓기는 어렵다고 설명하고 있다. 어쨌든 육군은 이처럼 관련 사실을 공개하지 않은 점때문에 비난 수위가 높아지자 12일 뒤늦게 적극 해명하며 은폐의혹을 진화하고 나섰다. 8일 오후 총기분실을 확인한 뒤 즉각 언론에 공개했고 10일 추가 조사과정에서 실탄과 수류탄 숫자가 맞지 않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즉각 현장 보존조치를 하는한편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의뢰, 현장감식을 실시했다는 것이다. 사건현장에서 머리카락 3∼4가닥을 확보해 DNA 감정을 의뢰했고 대공용의점이의심돼 해당지역에 대침투 대비태세인 `진돗개 하나'를 발령하기도 했다. 육군은 "은폐 의도가 있었다면 진돗개 발령은 물론 경찰과 합동으로 검문소 운용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볼멘 소리를 했다. 관련 사실을 제 때 공개하지 않은 것도 "당시로는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제한이 있었고 현장감식 종료후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정확한 실셈파악이라는 절차 준수가 필요했다"며 "GOP(전방관측소) 지역이다 보니 수사하는데 제한도 많고 증거인멸 등 수사상 어려움 때문에 상황을 소상히 밝히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의혹이 제기될 정도로 사안을 매끄럽게 처리하지 못한데 대해서는 "사실을 미리 알리지 못해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머리를 숙였다. 육군은 일단 외부소행으로 보고 있지만 탄약고가 뜯긴 흔적이 없고 사고지역이민통선 이북으로 민간인 접근이 제한되는 만큼 내부와의 연계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탄약과 수류탄 부분도 분실인 지 장부상의 차이인 지를 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육군은 "정말 은폐하려 했던 것은 아니다"고 강조하고 필요 이상의 비난을 받고있다며 억울해 하는 한편 사태 추이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