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이슬란드 외국인예금 상환 법안, 국민투표서 부결

"은행부실 국민반발 상징, 상환거부 뜻하는것 아니다"

오수르 스카르페시슨(오른쪽) 아이슬란드 외무장관이 6일(현지시간) 국민투표 부분 개표 결과를 발표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아이슬란드 국민들은 이날 사상처음으로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외국인들의 예금을 정부가 상환하는 법안에 대해 압도적인 표 차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레이캬비크=AFP연합뉴스

아이슬란드 은행 파산으로 동결된 영국ㆍ네덜란드계 예금을 정부가 상환하는 법안이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인 표차로 부결됐다. 하지만 이는 아이슬란드의 예금상환 거부를 뜻하기보다 은행 부실에 대한 국민들의 반발을 상징하는 차원이어서 국제적 갈등으로 확산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로이터통신은 6일(현지시간) 개표가 32%가량 진행된 가운데 아이슬란드 투표자의 93.1%가 예금 상환을 골자로 한 '아이스세이브(Icesave)' 법안에 반대표를 던졌고 찬성은 1.6%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영국과 네덜란드 정부는 지난 2008년 10월 아이슬란드 란즈방키은행이 국유화되며 예금이 동결되자 약 30만명 이상인 자국 예금자의 예금액 53억달러(38억유로)를 대신 지급하고 이의 상환을 요구해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투표 결과는 은행 부실 책임을 대신 지는 것에 대한 아이슬란드 납세자들의 분노를 잘 보여준다"면서도 "실체적이기보다는 상징적인 투표에 가까우며 아이슬란드 정부는 양국과 기준 완화 여부를 놓고 재협상에 나서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 아이슬란드 총리도 "이 같은 반대표가 아이슬란드의 상환 거부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우리는 (대안을 찾아) 규정을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금액 상환이 늦어질수록 국제통화기금(IMF)의 2차 지원 등이 지연될 수 있어 아이슬란드 경제회복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