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휴대폰산업 신흥시장 노려라"

BRICs·아세안 4국등 비중 2009년엔 62%<br>성장 지속 하려면 시장 적극 진출·투자 늘려야


국내 휴대폰 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려면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등 신흥시장 공략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은 11일 ‘신흥 이동전화 단말 시장 성장잠재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전세계 휴대폰 단말기 시장에서 신흥시장의 비중이 올해 57%에서 2009년에는 62%까지 증가할 것”이라며 “국내 휴대폰 단말기 산업도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신흥시장 진출 및 투자 확대에 주력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대표적 신흥시장인 BRICs와 함께 인도네시아ㆍ말레이시아ㆍ필리핀ㆍ태국 등 아세안 4개국을 주목해야 할 시장으로 꼽았다. 또한 고유가에 힘입어 막대한 오일 머니를 갖고 있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5개국(알제리, 나이지리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베네수엘라)과 유럽연합(EU) 가입을 계기로 경제가 활성화되고 있는 동유럽 5개국(체코, 헝가리, 폴란드,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역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국가군으로 분류했다. 정통부 관계자는 “가입자 회선 규모와 회선 성장률을 고려한 시장 매력도 측면에서는 BRICs와 아세안 4개국이 강점을 보이는 반면 휴대폰 보급 성장률에서는 OPEC 5개국이 2010년까지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흥시장 가운데 BRICs, 특히 중국과 인도시장에 대한 공략을 강화하고, 단기적으로는 아세안 4개국, 중단기적으로는 OPEC 5개국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통부는 신흥시장 공략을 강화하더라도 초저가 단말기 시장 진출은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통부 관계자는 “초저가 단말기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이 시장의 비중이 급속히 축소되고 있는 데다 원가 경쟁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많은 위험을 안고 있다”면서 “기존 프리미엄 전략을 기반으로 새로운 가격대의 시장 공략에 초점을 맞추는 등 틈새시장을 발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