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현대차 노조의 '무리수'

현대차 노조의 '무리수' "勞추천 사외이사 선임하고 공동결정제 도입을 " 사측 "논의 필요없는 터무니없는 주장" 반박 박태준 기자 june@sed.co.kr 현대차 노조가 투명경영을 주장하며 사측에 노조 추천 사외이사 선임과 노사 공동결정제도 등을 제기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사측은 "논의조차 할 필요 없는 터무니없는 주장"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16일 "현대차 사외이사는 모두 9명이지만 노조가 신뢰할 만한 내용을 찾을 수 없다"며 노조 추천을 통한 사외이사 선임을 사측에 요구했다. 현대차 노조는 노조 추천 사외이사를 통해 노사 간 신뢰가 형성될 수 있는데다 정치권 로비나 불법회계 작성 등을 철저히 배제해 투명경영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현대차 노조는 ▦노조의 경영 참여를 위한 '노사 공동결정제' ▦투명 경영 확보를 위한 '경영개선위원회' 구성 등을 아울러 요구했다. 임금과 근로조건은 물론 근로자 고용과 해고 투자 계획 등 경영 전반에 노조의 영향력을 행사하겠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사측은 "일일이 반박할 가치도 없는 황당한 주장"이라는 입장이다. 대표이사가 주주들의 뜻을 물어 운영하는 회사에 노조가 경영참여를 하겠다는 것 자체가 설득력이 없다는 설명이다. 현대차의 한 고위관계자는 "노조가 경영참여를 하겠다며 요구한 사외이사 추천이나 노사 공동결정제도는 노조 권한 밖의 문제로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들"이라며 "게다가 지금은 단순히 임금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인데 이런 의제를 제기하는 것은 다분히 협상을 위한 전략적인 접근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 전문가들도 현대차지부의 노조 추천 사외이사 선임 문제는 특정 이해집단의 개입 가능성이 크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대학장은 "(노조 추천 사외이사는) 노조 측 이해관계자로 볼 수 있다"며 "그 자체로 사외이사에서 제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노조 추천 사외이사가 주장만 있고 책임을 지지 않을 경우 권한 남용의 우려도 있다"고 덧붙였다. 남용우 경총 노사대책본부장은 "노조의 사외이사 추천과 관련된 요구는 임금ㆍ근로조건 개선 등 단체교섭 대상이 아니다"라며 "경영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것으로 매우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