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중수 한은 총재 "현 통화기조 매우 완화적"

가계ㆍ중소기업 체질 강화를 위해 통화정책 역할론 강조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현재 기준금리가 경제회복속도에 비춰 낮은 수준임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번달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조만간 금리 인상이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서울파이낸설포럼 주최 강연에서 김 총재는 “한 차례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잠재성장률이나 인플레이션과 같은 실물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현재 통화적 기조는 매우 완화적인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렸지만 인상폭이 크지 않았으며 이미 시중금리에 반영돼 있었기 때문에 금융ㆍ주택 시장과 가계 및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김 총재는 강연 직후 기자들과 만나 “중장기적으로 (기준금리 정상화로) 가는 게 맞다는 뜻이다. 언제 어떻게 가느냐는 다른 문제”라며 “정상화 속도는 안팎의 상황을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는 “우리 경제가 올해 하반기에는 민간주도하에 잠재 GDP 성장률 수준까지 견조하게 성장할 것”이라며 “하반기에는 경제성장이 다소 둔화되겠지만 이는 회복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작용이기 때문에 경제둔화에 대한 우려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총재는 거시경제적으로 만족스러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반국민들은 주택시장의 침체로 인해 경기지표만큼 경기 회복을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도 부연했다.

그는 소비자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올해 4분기로 갈수록 한은의 중기 물가안정목표치인 3%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가계와 중소기업의 체질이 현저히 약한 상태라고 진단하며 이를 강화하기 위한 통화정책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김 총재는 “가계는 과대한 부채와 낮은 저축률로 인해 소비 여력이 크지 않다”며“또 중소기업의 30% 이상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한은이 금리 인상으로 가계와 중소기업에 충격을 줘서도 안되지만 또 한편으로는 저금리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체질강화를 늦추도록 유인해서도 안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