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고소득 전문직에도 '女風'

의사·변호사등 지난해 생겨난 일자리 70% 차지<br>계약기간 1년이상 근로자도 여성이 남성의 1.6배


국회ㆍ지방의회 의원, 의사, 변호사 등 전문성과 높은 소득이 보장되는 ‘알짜’ 직종에서 지난해 창출된 신규 일자리의 70%를 여성이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근로계약기간 1년 이상의 상용근로자 신규 일자리의 60% 이상이 여성에게 돌아갔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 수는 2,315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29만5,000명이 늘어났다. 이 가운데 여성 취업자는 18만명으로 지난해 새로 만들어진 일자리의 61%를 차지했다. 직업별 취업자 수로 보면 전문ㆍ기술ㆍ행정관리자 등 고소득 전문직종이 499만7,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2만2,000명이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만8,000명, 여성이 15만4,000명 늘어났다. 이 직업군에서 증가한 취업자의 69.4%가 여성인 셈이다. 전문ㆍ기술ㆍ행정관리자는 ▦의회의원ㆍ고위임직원ㆍ관리자 ▦전문가 ▦기술공ㆍ준전문가 등이 포함되는 직업군. 통계청이 고용동향 파악을 위해 분류하는 10개 직업 중 소득 수준이 평균보다 높은 군으로 분류된다. 장기고용이 보장되는 일자리에서도 여성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지난해 임금근로자 중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28만7,000명 증가)’ 중 여성 근로자가 17만8,000명 늘어 남성(10만9,000명)의 1.6배에 달했다. 상용근로자와 근로계약기간이 1개월~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를 함께 포함하는 ‘상시근로자(37만4,000명 증가)’에서도 여성 취업자 증가 수는 21만3,000명으로 전체의 57.0%에 달했다. 그러나 전체 취업자의 성별에서는 여성이 여전히 남성 취업자에 비해 크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남성 취업자는 1,344만4,000명으로 여성 취업자(970만6,000명)보다 38.5% 많았고 전문ㆍ기술ㆍ행정관리자 직군에서도 남성이 317만4,000명으로 여성(182만3,000명)의 1.7배에 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