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건설사 아예 일손 놨다

시장 침체로 신규 주택사업은 엄두도 못내<br>"2~3년뒤 경기 되살아나면 공급부족 우려"

미분양이 좀처럼 줄지 않는 등 주택경기 침체가 극에 달하면서 건설업체들이 아예 일손을 놓고 있다. 분양이 담보된 재개발ㆍ재건축을 제외하고는 신규주택사업은 엄두도 내지 못하며 분양승인까지 받아놓은 사업도 착공을 늦추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2~3년 뒤 주택경기가 되살아나면 공급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8일 국토해양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9월까지 주거용 건축물 착공 면적이 1,157만㎡에 불과해 건설업체들이 주거용 건축공사를 포기하다시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494만㎡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9월만 놓고 보면 주거용 건축물 착공면적은 113만2,000㎡로 여름 휴가철이었던 8월(113만5,000㎡)보다도 작았으며 2월(74만㎡)을 제외하고는 올해 가장 부진했다. 이 같은 착공면적 감소는 대주단 협약 가입을 받은 금융기관이 건설업체들에 대한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들어가면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착공면적 감소에 따른 파장도 우려된다. 주거용 건축물의 착공면적 감소는 아파트ㆍ다가구주택ㆍ다세대주택 등 주택을 짓지 않는다는 것으로 착공부터 실제 입주까지 길게는 3년가량 소요되는 것을 고려할 때 2~3년 후 주택수요가 회복될 경우 심각한 공급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가 주택공사 등 공공의 역할을 줄이고 민간 공급이 강화되는 구조로 장기 주택공급계획을 수립해 공급감소에 대한 불안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업체들의 복지부동은 올해 대형 건설사들의 분양실적에서도 잘 드러난다. 빅5 건설업체들의 올해 분양실적은 계획 대비 약 60~80%에 그쳤다. 이나마 주택경기가 괜찮았던 상반기에 분양한 것이 대부분이다. 정부가 올해 계획했던 수도권 30만가구, 전국 50만가구의 주택공급 목표도 상실한 지 오래다. 11월까지 전국 주택공급은 23만9,844가구로 수도권 12만4,440가구, 지방 11만5,404가구에 그쳤다. 건설사들의 내년 계획은 더욱 어둡다. 아직 제대로 된 계획조차 잡지 못하는 실정이지만 대부분은 지방 분양사업을 재검토하고 서울ㆍ수도권사업도 분양시기를 경기회복 시점까지 연기할 방침이다.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최근 분위기에서 어떻게 내년 계획을 잡을 수 있겠냐”며 “주택사업 비중은 최대한 축소하고 공공건설과 해외사업으로 한해를 버티는 방향으로 사업계획을 짜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