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弱달러, 세계질서를 바꾼다] 독배를 약으로 바꿀 순 없나 경제체질 강화·금융허브 도약 기회 삼자외부 충격 흡수할 '유연한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 시급中·日 헤게모니다툼 활용 '아시아판 IMF' 유치 해볼만가격 싸진 선진국 기업 인수 '미래기술' 확보 서둘러야 최형욱 기자 choihuk@sed.co.kr 달러 약세와 함께 전세계적인 유동성 잔치가 끝나가면서 한국 경제도 본격적인 시험대에 올랐다. 저물가ㆍ저금리ㆍ고성장의 호(好)시절은 가고 인플레이션 압력과 전세계 경제의 둔화, 자산거품 붕괴를 동반한 스태그플레이션 시대가 올 가능성이 크다. 대외의존도가 세계 최고 수준인 한국으로서는 유연한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이 급선무라는 뜻이다. 또 달러 약세는 메가톤급 위기요인이지만 우리의 대처능력에 따라서는 경제체질 개선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남북경협과 서비스ㆍ내수 산업 육성을 통해 균형발전을 이루고 기술개발 및 구조조정, 선진국 기업 인수합병(M&A), 원자재로 자산 다각화 등을 통해 기업체질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아시아 역내에서 금융공조의 필요성이 커질 경우 아시아 금융허브 도약의 지렛대로 삼을 수도 있다. ◇유연한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을=달러 약세의 후폭풍이 두려운 이유는 국제적인 금융위기가 어느 나라에서, 어떤 규모로, 어떤 방식으로 발생할지 그 누구도 모른다는 점이다. 최근 발트3국ㆍ카자흐스탄 등 신흥 유럽에서 발생한 경제위기는 서곡에 불과하다는 우려도 있다. 동남아 등 신흥국가는 물론 미국ㆍ중국ㆍ유럽연합(EU) 등도 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만큼 선제적인 대책 마련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금융기관의 건전성 감독 및 대외 리스크 조기 발견, 중국 등에 대한 시장 모니터링 강화 등을 통해 외부충격의 흡수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위기의 진앙지나 파장을 명확히 알 수 없는 만큼 위기관리 시스템도 유연해 정책 대응의 타이밍을 놓치지 않는 것 외에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아시아권 금융허브의 기회로=이 같은 소극적인 대처 외에 남미통합은행의 출범처럼 역내 금융블록화 흐름을 최대한 활용하라는 조언도 있다.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이후 10년 만에 또다시 금융위기 가능성이 커지면 아시아권 공조체제도 한단계 더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아시아판 IMF인 AMF 구상은 어느 정도 무르익어가고 있다. 하지만 역내 신용보증ㆍ투자기구 및 예탁결제기구 설립, 역내 신용평가 기능 활성화 등은 초보적인 논의단계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과 일본ㆍ아세안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경제력도 어느 정도 갖추고 있고 중일 간 알력에서 자유로운 한국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한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과거 EU 출범 때 양대 강대국인 독일과 프랑스의 주도권 싸움 와중에 EU 본사가 벨기에로 결정됐다"며 "AMF가 국제기구 형식으로 출범할 경우 본사를 한국에 유치하면 금융허브 달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체질 강화가 근본 전략=전문가들의 달러 약세는 외부 변수인 만큼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 강화 외에 뾰족한 방법이 없다고 입을 모았다. 홍성국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근본적으로 한국 경제가 세계 경기변동에 휘둘리지 않아야 한다"며 "남북경협 증대를 통해 새로운 내수시장을 육성하면 대외의존도를 탈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달러 약세로 수입 가격이 낮아지는 점을 활용해 내수 및 서비스산업을 키우라는 조언도 있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국ㆍ중국 일변도에서 탈피해 고성장세가 예상되는 자원수출국 진출을 확대하는 한편 내수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며 "샌드위치 신세를 벗어나기 위해 인수가격이 저렴해진 선진 기업 M&A를 통해 미래기술을 확보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한은과 우리 기업이 보유한 막대한 달러를 원자재나 기업 등 실물 인수로 활용하라는 뜻이다. 또 역으로 차이나ㆍ오일 달러의 한국 진출에 대비해 지분이 취약한 일부 기간산업의 M&A 방어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입력시간 : 2007/10/25 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