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내년부터 기업 옥석가리기 본격 나설것"

김종창 금감원장 인터뷰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은 23일 “올해는 기업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내년부터는 본격적인 ‘기업 옥석 가리기’에 나서겠다”며 “우선 건설업체와 중소 조선업체들이 그 대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원장은 이날 건설업 및 중소 조선업 구조조정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산업 전체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건설 및 조선업체들을 대상으로 솎아내기를 본격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시장의 불안심리와 불확실성을 해소할 시점이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주채권은행별로 건설ㆍ조선회사에 대해 내부 등급을 매겨 상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 “채권단의 기존 상시 평가는 구조조정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데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구조조정 전담기구인 기업재무개선지원단에서 기업의 신용위험평가를 담당하는 TFT를 만들어 구조조정의 잣대를 만들 것”이라며 “이 기준을 채권은행에 전달해 정리할 기업은 확실하게 정리하고 넘어가게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기존에 건설사의 경우에는 유동성 지원을 위한 ‘대주단협약’, 중소 조선사는 중기 구조조정 프로그램인 ‘패스트트랙’을 통해 금융지원과 구조조정을 병행해왔지만 시장의 불확실성만 커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내년부터는 구조조정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채권단이 본격적으로 부실 기업 솎아내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김 원장은 “대주단협약ㆍ패스트트랙과 상관없이 기업을 재평가한 후 구조조정 대상 여부 및 금융지원을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 원장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자동차와 반도체 업종의 구조조정 여부에 대해서는 “이들 업종에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구조조정을 할 단계는 아니다”라며 “지식경제부 등 관련 부처가 산업정책적 관점에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채권단도 개별 회사의 자금사정을 점검하면서 개별 기업 중심으로 금융지원과 구조조정을 병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