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故박왕자씨, 경계선 너머 200m 지점서 피격"

정부 중간조사, 北주장과 100m차<br>우발성 여부등 판단 유보…현장조사가 진상규명 열쇠

황부기(왼쪽) 금강산 피격사건 정부 합동조사단장인 통일부 회담연락지원부장이 25일 서울 도렴동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고(故) 박왕자씨의 피격 장소 사진을 보며 브리핑을 하고 있다. /손용석기자

정부는 금강산에서 북한군 총격 사건으로 숨진 관광객 고(故) 박왕자씨의 사망 지점은 경계선 울타리 넘어 기생바위 쪽 200m이며 사망 시간은 지난 11일 오전5시16분 이전인 것으로 추정했다. 황부기 금강산 관광객 총격 피살사건 정부합동조사단 단장은 25일 세종로 정부 중앙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 중간조사 결과를 밝혔다. ◇사망 지점ㆍ시간 북측 주장과 차이=합조단에 따르면 박씨의 사망 지점은 북측이 현대아산을 통해 밝혔던 300m 지점과는 100m 차이가 난다. 황 단장은 “현장 사진을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 정밀 감정해 좌표를 설정하고 뽑은 결과로 추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합조단은 사망시간 추정 근거로 오전5시16분에 찍은 사진에서 박씨가 이미 피격당해 쓰러져 있는 모습을 확인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북측은 오전4시55분부터 5시 사이에 박씨가 사망했다고 윤만준 현대아산 사장 방북 시 밝혔었다. ◇총격 횟수, 이동경로, 우발성 판단 유보=그러나 합조단은 정확한 총격 횟수와 이동경로, 사망시간 및 우발성 여부 등 핵심 내용은 현장조사 미실시를 이유로 판단을 유보했다. 황 단장은 “현장 관광객 중 어떤 분들은 2발, 어떤 분들은 3발을 들었다고 하는 등 사람에 따라 숫자가 다르게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우발성 여부에 대해 “현재 시점에서 판단하기 이르다”고 답변했다. ◇현장조사가 진상규명 ‘열쇠’=북측이 현장조사를 받아들여야 사건의 진상이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목격자 증언과 현장 사진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일각에서는 북측의 태도 변화가 곧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북한이 24일 폐막한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국제사회의 여론을 파악한데다 오는 8월11일로 예정된 테러지원국 해제 발효를 위해 그동안의 침묵을 깰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사회의 압박에 더해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테러지원국 해제 발효 재평가’ 발언도 북측을 움직이게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잇따라 국제 무대에 얼굴을 내미는 북한으로선 부담일 수밖에 없는 금강산 사건을 빨리 털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권대경기자 kwon@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