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지하수 속 폐암물질 라돈 제거기술 개발

<b>지질硏, 이길용 박사팀...친환경 무동력 장치로 설치비도 절감</b>

지하수에 포함된 폐암 원인물질인 라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지하수연구실 이길용 박사팀은 외부의 전력공급 없이도 수차를 이용해 지하수에 함유된 라돈을 제거할 수 있는 ‘무동력 지하수 라돈 저감시스템’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지하수가 물탱크로 유입될 때의 수압을 이용해 수차를 돌리고 그 회전력으로 환풍기를 작동시켜 지하수 속 라돈을 공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공기를 공급 또는 포화시킴으로써 생물화학적으로 정화를 촉진하는 폭기법이나 흡착력이 강한 활성탄 설비 등을 사용한 기존의 지하수 라돈 제거장치와 달리 전력 공급이 필요치 않아 초기 설치비와 시설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는 것이 최대 장점으로 꼽힌다. 연구팀은 지난 1년 6개월간 라돈 농도가 높은 한 마을의 상수도 시설에서 현장 시험을 수행, 최소 80%의 라돈 제거 효과를 얻어 그 효용성을 입증했다. 또한 이미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하고 관련 업체에 기술 이전을 마친 상태다. 이 박사는 “이 기술을 활용해 지하수를 이용하는 마을 상수도와 학교시설들이 안전한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기술이전 업체와 함께 적극 노력할 예정”이라며 “전력 공급이 원활치 않고 지하수 시설이 많은 중국, 동남아 등을 대상으로 기술수출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가 지하수를 이용하는 전국 2만 여개 마을의 상수도 990개소를 조사한 결과, 무려 26.5%인 262개소에서 미국의 먹는 물 제안치(4천pCi/L)를 초과하는 라돈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