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스티로폼업계가 KCC 등 대기업들이 발암가능물질인 유리섬유 생산을 확대해 시장독과점을 획책하고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며 집단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22일 한국스티로폴조합과 스티로폼 업계는 KCC 등 대기업이 발암가능물질인 유리섬유 생산설비를 증설하는 등 공해와 환경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으며 발암가능물질 확산에 따른 위험부담마저 중소기업에 전가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KCC는 스티로폼 단열재의 화재 위험성이 높은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고, 유리섬유의 발암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사실이 없음에도 스티로폴조합이 악의적으로 개별기업을 흠집내고 있는 만큼 변호사를 통해 법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티로폼조합과 KCC의 이해충돌이 표면화되면서 일부에서는 건축단열재 시장을 둘러싼 중소업계와 KCC의 싸움이 전면전으로 확산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스티로폴조합 관계자는 “시장규모가 3조5,000억원에 달하는 건축단열재 시장에서 중소 스티로폼 업체들이 시장규모를 키워놓았는데 KCC 등 대기업이 화재피해의 원인을 스티로폼 업계로 돌리고 있으며 자신들은 인체에 유해한 유리섬유 단열재를 생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스티로폼업계가 KCC의 유리섬유 생산확대에 반기를 들고 나오는 것은 자구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건교부가 화재 위험성을 이유로 스티로폼 판넬 사용범위를 대폭 축소시키면서 경영악화로 도산에 내몰리고 있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스티로폼 대체재로 유리섬유를 생산하고 있는 KCC는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는데 유리섬유의 경우 발암가능물질인 만큼 정부가 형평성을 잃고 유리섬유를 생산하는 대기업에 특혜를 주고 있다는 설명이다.
조합은 유리섬유는 이전 공해와 환경문제를 일으켰던 석면 대체물질로 개발된 발암가능물질이며 세계보건기구는 유리섬유의 암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둔 연차보고서를 계속 발표하고 있다며 유리섬유에도 스티로폼과 같이 폐기물분담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현재 국내 유리섬유 제품의 50% 가량을 생산하고 있는 KCC가 발암가능물질 확산에 따른 위험부담마저 중소기업에 전가시키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유리섬유 절단가공시 발생하는 미세입자로 발생할 수 있는 배상책임을 전가시키기 위해 절단가공을 구매자에게 위임하고 있어 2차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은 건강상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KCC는 “유리섬유가 발암물질이라는 사실이 입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KCC가 생산하는 제품을 마치 발암유발물질로 몰아가는 것은 개별기업을 악의적으로 죽이기 위한 것”이라며 “변호사를 통해 법적대응에 나서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정명기자 vicsj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