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제공항 일부 지분매각은 세계적 추세"

이수원 관리관 "경쟁력 높이려면 외국사와 제휴 필요"

이수원 기획재정부 재정업무관리관은 27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지분매각과 관련해 베이징공항을 예로 들며 “(국제공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일부 지분을 매각하는 것은 세계적 추세”라고 말했다. 이 관리관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인천공항이 서비스 평가 1위라고 하지만 아직 경영효율화 등을 통한 발전 가능성이 남아 있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이 관리관은 “인천공항은 일본과 중국 사이에 있다는 지리적 이점이 있어 동북아 허브공항으로 가야 하는데 환승률이 12% 수준에 머물고 있다”면서 “이를 높이기 위해서라도 외국 주요 공항 운영사와의 전략적 제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인 지분 매각이나 경영효율화 방식은 공개 토론회를 통해 결정하겠다고 이 관리관은 덧붙였다. 한국공항공사 소유의 지방공항 매각과 관련해 그는 “한 개 기관에서 여러 개 공항을 관리하므로 경쟁력이 떨어져 효율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면서 “구체적으로 몇 개를 매각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장영철 재정부 공공정책국장도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전기ㆍ가스ㆍ수도ㆍ의료보험 등 4개 부문은 민영화하지 않겠다는 정부 방침은 계속 유효하다”면서 “지자체가 보유한 지방 상수도를 민간위탁하자는 것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마련하는 선진화 방안과는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