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상암동 DMC사업 '급제동'

李시장 "미분양용지 서둘러 팔 필요없다" 속도조절 지시<BR>IBC사업자 선정 잡

상암 DMC 조감도.

상암동 DMC사업 '급제동' 李시장 "미분양용지 서둘러 팔 필요없다" 속도조절 지시IBC사업자 선정 잡음따라 원점 재검토키로 상암 DMC 조감도. 서울시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마포구 상암동의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조성 사업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이명박 서울시장이 130층 규모의 랜드마크빌딩 건립 예정지 등 미분양 용지에 대해 ‘서둘러 팔 이유가 없다’며 속도 조절을 지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22일 서울시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 시장은 최근 간부회의에서 “DMC가 최적의 입지요건을 갖췄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로 (언제든지 분양이 가능한 만큼) 나머지 용지를 서둘러서 매각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시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이 시장이 랜드마크빌딩인 국제비즈니스센터(IBC)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과정에서 송사(訟事)가 벌어지는 등 잡음이 생긴데다 개발이익에만 관심이 있는 디벨로퍼(부동산개발업자)에 휘둘리지 않고 실제 수요자를 찾는 게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이 같은 언급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IBC 사업자 선정을 위한 재공고를 예정대로 진행할지, 아예 취소하고 다른 용도로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할지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DMC담당관실 관계자는 “재공고 여부는 선택의 문제로 아직 최종 결정되지 않았다”며 “IBC 용지로만 고집하지 않고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나머지 용지는 다음달께 단계적으로 매각절차에 들어가겠지만 일정이 당초보다 늦어질 수 있다”며 “DMC 조성 취지에 맞는 업체 유치를 위해서는 시간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게 시의 기본적인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시간에 쫓겨 용지를 매각하는 양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우량업체 유치 등 질적인 성과를 거두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의 이런 행보는 업계들에는 사업 후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IBC 우선협상대상권 등을 따내기 위해 일전불사를 준비했던 국내외 업계는 사업 지연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관망세로 돌아섰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DMC 사업추진 일정에 차질이 예상된다”며 “시의 입장을 좀더 살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시는 지난해 IBC 건설을 위한 우선협상자 선정을 추진했으나 제안서를 제출한 나이(NAI)컨소시엄 등 3개 사업자가 자격미달이나 사업계획이 부적합하다며 백지화하고 재공고 후 선정을 결정했다. 이에 반발, 입찰에 참여했던 KS종합건설은 지난 2월 이명박 시장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법에 ‘지위보전 가처분’ 신청을 냈으며 이달 4일 첫 심리가 이뤄지는 등 소송이 진행 중이다. 한편 DMC 전체 공급면적 9만9,000평 가운데 26개 필지 4만2,000여평은 공급대상자가 결정됐고 나머지 22개 필지 5만7,000여평은 미분양 상태다. 임석훈 기자 shim@sed.co.kr 입력시간 : 2005-03-22 18:49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