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대결 실종 진흙탕 총선

“총선국면에 정책대결은 없고 인물영입 혈투, 이벤트정치, 정치공방만 벌어지고 있다” 4ㆍ15 총선을 앞둔 정치권 모습을 꼬집은 유권자들의 비판이다. 각 당은 최근 총선공천을 위해 얼굴이 대중에 왠만큼 알려진 인사들에 대해서는 모조리 표적삼아 무차별적으로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치권 세대교체와 물갈이 바람을 타고 정치력이나 전문능력보다는 `얼굴`을 앞세운 인사들이 대거 정치권에 진입할 우려가 있다. 또 불법 대선자금 의혹 등을 둘러싸고 소모적인 공방을 벌이며 네거티브 정치공세에 집중, 국민들의 정치불신만 키우고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야당은 검찰이 수사중인 불법 대선자금 의혹에 대해 국회 청문회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이번 청문회는 야당이 청와대와 사실상의 여당인 열린우리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원내 다수의 힘으로 도입한 특검수사가 이뤄지는 가운데 추진되고 있어 청문회가 열릴 경우 정치공세의 장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높다. 이번 4ㆍ15 총선은 3김시대를 마감하고 확고한 리더십을 구축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당체제로 치러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 만큼 정당간 각축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해 `얼굴중심`의 인물영입이나 네거티브 정치공세가 극심할 수 있다. 그러나 총선은 인기투표나 상대방 흠집내기 경쟁이 아니다.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고 국정을 올바로 이끌 선량을 뽑는 축제이다. 따라서 각 정당은 나름의 철학과 이념에 걸맞는 인물들을 후보자로 영입하고 정책을 공약으로 제시해 국민들로부터 평가받을 자세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총선을 불과 80여일 앞둔 시점에 정부의 선심성 정책들만 넘쳐날 뿐 어느 정당도 구체적인 공약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앙선관위가 최근 발표한대로 오는 3월부터 유권자가 자신의 정치성향에 따라 정당과 후보자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넷 정당ㆍ후보별 정책비교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열린우리당이 지도부의 잇따른 민생투어로 정치권에 답답해 하는 국민들에게 신선한 반향을 일으키면서 각종 여론조사에서 정당지지도 1위에 올라섰다. 그러나 이 또한 `이벤트정치`로 표현되는 선거운동에 지나지 않는다. 지금은 민생현장을 방문, 현황을 파악할 때가 아니라 정책을 내놓고 행동할 때이기 때문이다. <구동본 정치부기자 dbkoo@sed.co.kr>

관련기사



정치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