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기업도 '책임있는 시민' 돼야

최근 기업의 화두는 이윤 추구뿐만 아니라 사회공헌 활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최근 기업 윤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지만 사회공헌에 초점을 두는 기업들이 오로지 이윤에만 집중을 하는 기업들보다 훨씬 더 나은 위치에 있게 될 것은 명백하다. 모 기업은 몇 년간 수행해온 사회공헌 활동 백서를 정리해서 배포하기도 했고, 또 어떤 기업은 사회공헌 활동을 마케팅 전략에 포함시킬 만큼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기부나 자원봉사 활동을 하거나 조직 역량에 초점을 맞춰 사회에 기여하면 됐지 전략을 세워 움직일 것까지 있겠느냐 할지 모른다. 그만큼 사회공헌 활동이 기업들이 구색을 맞춰 적당히 진행하는 이미지 메이킹 활동이 아니라 실제로 좋은 기업이 되고자 하는 전략적인 활동이기 때문일 것이다. '나눔경영'의 중요성 커져 이것은 경영 환경이 ‘이윤 추구’에서 ‘나눔을 위한 합당한 이윤의 배분’으로 바뀌고 있는 것에 대한 반증이고 배분의 방법은 배당에만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영 환경의 변화는 그 출발이 자의적이든 아니든간에 너무나 환영할 만한 일이다. 왜냐하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의 활성화는 기업의 ‘윤리 경영’을 의미하고 이것은 ‘혁신’을 내포하고 있으며 기업이 ‘진화’하고 있다는 증거다. 그렇다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어떻게 규정지을 수 있을까. 기업마다 그 철학과 실행 방법도 제각각일 것이다. 정답이 있을 리 없지만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이윤과 공익을 균형 있게 추구하는 것이다. 특히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란 기업이 사회와 끊임없는 관계 정립 속에서 만들어나가는 것이라 생각한다. 기업은 그들이 속한 사회, 더 나아가 국경을 넘어 국제사회를 바탕으로 활동을 해나가는 조직체이기 때문에 비즈니스를 행하는 지역사회, 그리고 국제사회에서 ‘책임 있는 기업 시민’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동안 대부분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 기부금 전달, 인력 동원 등 자선사업 위주의 외부적인 활동에만 초점이 맞춰져왔다. 하지만 기업을 둘러싼 환경은 크게는 정부나 사회뿐만 아니라 작게 나누자면 다양한 방식으로 그 기업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 즉 그 기업이 발을 딛고 있는 지역사회, 소비자, 종업원, 주주, 공급 업체, 협력 업체 등 모든 기업 이해관계자들도 포함된다. 따라서 기업은 재무적 성과에만 국한되지 않은 더 광범위한 방식으로 그 사회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자선 활동 외에 고객의 기대를 넘어서는 혁신적이며 동시에 안전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 법과 윤리에 따라 투명하게 기업을 운영하는 것, 직원들 사이에서 인종 차별이나 문화적인 차별 등의 장벽을 부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 등 다양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기업들은 그동안 사회공헌 활동을 경쟁적으로 펼쳐왔지만 그 실적을 놓고 거품 시비가 일기도 했다. 가령 정치 자금이나 각종 법정 기금, 경제단체 회비 등을 사회공헌 비용으로 발표하기도 한 것이다. 다양한 사회적 역할 수행을 이러한 연유로 최근에는 기업들의 사회공헌의 성과와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재계와 학계의 공동연구로 개발되기도 했다. 평가지표가 정확한 잣대가 될 수는 없겠지만 기업의 사회공헌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시장에서 그 산업계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공정한 경쟁을 통해 사회공헌 활동을 해야 한다. 윤리 경영, 나눔의 경영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은 ‘책임 있는 기업 시민’으로서뿐만 아니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굳건히 자리를 지키며 개인보다 더 많은 혜택을 나눠줄 수 있다. 기업들이 사회의 구성원인 기업 시민으로서 공정한 경쟁과 방법을 통해 감동을 선사하는 사회공헌 릴레이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