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북·중 정상회담] 외교전략 4國4色
정부, 천안함·6자회담 개별대응 나서나'先조사 後회담' 입장서 선회…유연성 기하며 '출구' 모색
권대경기자 kwon@sed.co.kr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으로 천안함 사고와 북핵 방정식이 한층 복잡해지고 있다.
5일 김 위원장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 주석 간 북ㆍ중 회담을 놓고 남ㆍ북한과 중국, 그리고 미국의 외교적 셈법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 간 치열한 물밑 외교전이 본격화하고 있다. 실제로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김 위원장 방중을 놓고 미국은 물론 중국과 남ㆍ북한 사이에 치열한 외교전이 물밑에서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위원장은 후 주석과의 회담에서 6자회담과 관련된 진전된 입장을 전달하면서 대가로 경제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천안함 사고와 관련한 중국의 이해를 구했을 가능성도 높다.
중국은 천안함 사고에도 불구하고 김 위원장의 방중을 용인함으로써 대북 영향력을 제고하는 한편 북한을 6자회담 테이블로 끌어내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의 체면을 세우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도 물론 6자회담과 관련한 진전된 입장을 중국에 전달하면서 경제적 지원을 얻어내는 성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동시에 천안함 사고의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에 자신들의 입장을 설명하면서 혐의를 벗고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위기를 벗어나려 할 것이라는 게 대북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미국의 경우 표면적으로는 천안함 사고를 우선에 두고 6자회담 재개를 모색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두 사안을 분리 대응할 방침을 세운 것으로 관측된다. 천안함 사고를 놓고 한국 정부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지만 북한의 비핵화가 최종 목표인 만큼 어떤 방식이 되든 비핵화를 위한 행보를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지난 4일 정례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이 중국 정부와 6자회담 복귀 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입장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우리의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며 "우리는 북한이 6자회담으로 복귀하는 것을 기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정부는 북ㆍ중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와 남북관계와 관련한 대응 전략을 세우는 데 고심하고 있다. 일단 천안함 사고 원인 규명 결과 북한의 소행이 밝혀졌을 경우 대처할 수 있는 카드가 그리 많지 않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통한 다자적 압박에 한계가 있는데다 적극적인 군사적 대응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