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희망! 스타트업] 창업 계획서

실현가능성 토대로 작성을퇴직자들이 일단 창업을 결정하면 고려해야 할 변수는 한 두가지가 아니다. 창업을 하면 자신이 조달, 판매, 자금 등 모든 업무를 책임져야 한다. 따라서 창업에 필요한 모든 사항을 사전에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DBM 코리아 등 전직지원(Outplacement) 컨설팅 업체들은 창업에 앞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할 것을 권유한다. 사업계획서는 사업을 효율적ㆍ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일종의 매뉴얼 역할을 한다. 또한 사업계획서는 외부로부터의 자금조달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금융기관은 창업자 개개인의 신용도뿐 아니라 사업계획서의 내용을 기준으로 대출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창업 희망자들은 객관성과 실현 가능성을 토대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한다. 특정 사업에 수반되는 위험과 함께 이에 대한 해결책도 동시에 사업계획서에 담아야 한다. 사업계획서의 핵심 항목은 ▦사업체의 개요 ▦시장 조사 및 분석 ▦판매전략 ▦제품 조달 ▦ 투자 및 자금조달 ▦ 인력확보 및 운영 등이다. 사업체의 개요는 사업체에 대한 개괄적 내용을 담는다. 상호, 대표자, 취급 아이템, 업체 소재지 등이 들어간다. 시장 조사 및 분석 내용도 필수적이다. 취급 품목의 전체 시장 규모, 경쟁업체,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는 고객군에 대한 정보를 자세하게 조사해 정리해야 한다. 기존 업체와의 경쟁 또는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판매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여기에는 가격 차별화 방안, 고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마케팅 전략 등이 포함된다. 고객에게 팔 물건이 적기에 공급되지 못한다면 사업은 큰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품 공급처, 거래조건 등 제품 조달에 대한 전략도 필요하다. 투자 규모 및 이에 따른 자금조달 방안은 사업의 성패를 가름한다. 각종 설비 및 비품, 인테리어, 점포 임대료 및 권리금 등 세부적인 투자 규모를 꼼꼼히 따져보아야 한다. 투자 규모가 결정되면 자기자본과 부채의 비중, 부채 상환계획 등을 수립해야 한다. 만약 금융비용이 예상 매출액의 10%를 초과한다면 투자 및 자금 조달계획을 재고해야 한다. 인력 확보 및 운영 계획도 핵심 포인트다. 인건비와 업무량을 바탕으로 적정 종업원 수를 결정하는 한편 이들에 대한 교육 방안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 같은 핵심 항목별로 추진일정표를 만들어 사업계획서를 그대로 실천해야 큰 어려움을 겪지 않게 된다. DBM코리아의 한재용 부사장은 "창업 희망자들이 사업계획서를 제대로 작성, 사업에 성공을 거둘 수 있도록 각 핵심항목마다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사업계획서 핵심 포인트 사업체 개요 - 상호, 취급 상품 및 서비스, 사업장 소재지 시장조사 - 전체 시장규모, 주요 타겟 고객군 판매전략 - 틈새시장 공략 방안, 가격 차별화 계획 제품조달 - 상품 공급처, 거래조건 투자 및 자금조달 - 설비 등 구체적 자금 소요 및 조달계획 인력 확보 및 운영 - 소요인력 추정 및 교육 방안 정문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