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과학高 이제는 "과학영재학교로"

내년부터… 무학년·졸업학점제등 연구중심 운영


서울과학고등학교가 영재교육진흥법에 의한 과학영재학교로 지정돼 내년 3월 ‘서울과학영재학교’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개교한다. 신입생도 전국에서 120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무학년제ㆍ졸업학점제 운영으로 탐구와 연구 중심의 과학교육에 집중할 방침이다. 지난 4월30일 교육과학기술부는 과학영재학교를 오는 2012년까지 총 4개교로 확대한다는 계획의 일환으로 서울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서울과학영재학교는 앞으로 교과과정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게 된다. 우선 학생들이 학년 구분 없이 희망하는 교과목을 수강신청해 총 170학점을 취득하면 졸업하는 무학년제와 졸업학점제가 도입된다. 조기졸업이 가능하며 대학과목선이수제(AP)를 통해 대학 학점을 미리 딸 수도 있다. 한 학급당 학생수는 15명으로 각 학년별로 8학급씩 총 360명 규모로 운영된다. 우수한 교사를 확보하기 위해 전국 단위의 교사 및 교장 공모제를 실시할 예정이며 교원자격증이나 교장 자격이 없어도 임용이 가능하다. 교장 중심의 교원평가 및 인사, 학교예산 총액배분, 자율편성 등 학교의 자율성과 독립성도 강화된다. 신입생 선발은 학생들의 과학영재성을 판별하기 위해 총 4단계에 걸친 선발과정을 거칠 예정이다. 2009학년도 신입생 선발계획은 다음달 중 확정ㆍ발표되며 6~8월 전형을 실시하고 8월 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한다. 기존 과학고와 달리 전국 단위로 학생을 모집하며 중학교 졸업생은 물론 재학생도 지원할 수 있다. 선발인원 총 120명 중 10%(12명)는 소외계층 전형으로 별도 선발한다. 신입생들은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하고 졸업시 서울대ㆍKAIST 등 대학과 협약을 맺어 특별전형으로 진학하게 된다. 기존 과학고 학생들의 경우 서울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되더라도 기존 체제에서 교육을 받고 졸업할 때도 서울과학고 교장 명의의 졸업장을 받게 된다. 한편 교과부는 올해 안에 공모를 통해 1~2개 학교를 추가로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고 한국과학영재학교의 KAIST 부설기관화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