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5대그룹 46兆 투자하면 53만 일자리창출'

올해 국내 15대 민간그룹의 46조원에 이르는 투자액이 53만6000명에게 일자리를 주고 부가가치 및 생산 유발액도 각각 26조1000억원과 73조8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부품소재와 자본재 수입의존도가 높아 15조6000억원의 수입을 유발함으로써 투자의 경제적 효과를 떨어뜨릴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일 ‘기업투자가 국내경제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46조원의 투자로 전기전자 21만7000명, 도소매업종 12만1000명 등 전 산업분야에서 신규 고용자와 일자리가 생긴 자영업자, 무급 가족종사자 수를 더해 총 53만6000명의 취업이 유발될 전망이다. 또 투자로 인한 부가가치 유발 추정액 26조1000억원 가운데 업종별로는 전기전자(11조6000억원)와 통신업(4조2000억원)에 대한 유발액이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보고서는 15대 민간그룹의 의욕적인 투자계획이 실제로 집행되기 위해 경제력집중억제와 수도권 총량규제 등을 완화하고 의결권 행사제한 등 경영권과 관련한 각종 차별적 규제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투자계획을 수요측면에서 뒷받침할 수 있도록 신용불량자 대책을 강화해야 하며 부가가치세, 특소세 등 세금인하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어 보고서는 투자증대가 자본재 및 부품소재 수입으로 이어져 효과가 반감되지 않도록 자본재와 부품소재산업 5개년 발전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사모펀드를 조성하고 프로젝트금융을 원활하게 해 대규모 투자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투자재원 조달이 쉬워지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뉴시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