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도 온실가스 감축 공론화해야"

재외공관장 "환경친화적 전략 필요" 한목소리

“온실가스 감축 논의에서 종전처럼 감축의무를 회피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우리도 이제 국력이 커진 만큼 거기에 상응하는 국제적인 ‘도덕적 책무’를 감당할 시점이 왔다.” 조창범 주호주대사, 정우성 주유럽연합(EU) 대표부 대사와 신길수 주몬트리올 총영사 겸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대사는 급변하는 국제사회 내 기후변화 대처 움직임을 감안, 온실가스 감축의 공론화 필요성과 시급성을 한 목소리로 강조했다. 2007년도 재외공관장 회의에 참석차 일시 귀국했던 이들은 최근 시내 프라자 호텔에서 좌담회를 열어 “‘환경외교’ 역량 강화를 위해 국내적으로 일관성 있게 환경친화적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조 주호주대사는 “호주는 지리적 여건상 오존에 직접 노출돼 피부암 발병률이 가장 높고 최근 5년간 가뭄이 잇달아 하천의 바닥이 마르고 큰 산불이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면서 “시민생활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최근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전반적인 인식이 높아졌다”고 소개했다. 정EU 대표부 대사는 EU가 “‘인류의 당면한 환경 현안’이라는 시각에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여론을 세계적으로 선도하고 있다”고 소개하고“EU는 교토의정서에 따라 1990년 대비 8% 감축 목표를 갖고 있고 최근에는 2020년까지 1990년 대비 20%를 자체적으로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고 말했다. 선진국에 온실가스 감축의무를 부과한 교토의정서 가입국인 캐나다에 대해 신총영사는“지난해 보수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교토의정서상의 의무 부담 대신 장기적·자발적 감축을 강조하는 아·태 파트너십(APP)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최근 캐나다에서 타르 모래(Oil Sand) 산업에 경제성이 생기면서 급격히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병욱 원장도 “머지않아 온실가스 감축은 물론이고 개도국에 대한 청정개발기술 이전 의무까지 지게될 가능성이 있어 대책 수립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