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車 4社 '산별노조 전환' 찬반투표 30일 완료

"투표결과 어떻게"… 노사 촉각<br>30일밤 늦게나 발표될듯

국내 최대 단일 노조인 현대자동차 노조가 29일 산별노조 전환을 위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완료했다. 30일 밤늦게나 7월1일 새벽 발표될 예정인 투표 결과에 따라 노동운동의 판도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여 노사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 28일 오후조와 29일 오전조 등 모두 4만3,000여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산별노조 전환을 위한 조합원 투표를 29일 마쳤다. 기아ㆍGM대우ㆍ쌍용 등 완성차 4사와 대우미포조선ㆍ대우조선해양 등도 30일까지 산별전환 투표를 마친 뒤 이날 저녁부터 동시 개표에 들어갈 예정이다. 노동계에서는 현대차가 산별노조로 전환할 경우 이번에 산별전환이 부결된 사업장이나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사업장들도 오는 10월에 재투표를 통해 산별노조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대차 지도부가 2003년에 이어 이번에도 조합원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게 되면 올해 말까지 전체 산하조직의 산별노조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민주노총에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유기 현대차 노조위원장은 올 초 취임 당시부터 “산별전환에 자신의 진퇴문제를 놓고 사활을 걸겠다”고 공언한 뒤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산별전환 지지를 적극 호소해왔다. 최근 노조 파업 찬반투표에서 임단협 사상 최고 수준인 80%가 넘는 찬성표가 나와 집행부의 산별전환에 대한 기대감을 실어주고 있다. 그러나 일선 조합원들의 산별전환에 따른 임금인상률 둔화, 복지혜택 축소 등에 대한 우려감이 상당해 투표 결과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민주노총은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산별전환운동은 노사관계 선진화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주장했다. 조준호 위원장은 “산별노조를 통해 산업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비정규직 및 하청기업 노동자들을 노조로 결속, 사회양극화에 적극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별노조가 건설되면 대기업 노조의 이기주의가 극복될 수 있는 현실적 토대가 마련되며 오히려 교섭이 최소화돼 사회적 비용이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경영계에서는 산별노조 전환이 산업현장에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29일 열린 전국경제인연합회 노동복지위원회 회의에 참여한 위원들은 “산별노조 전환이 이뤄질 경우 산업현장에 많은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며 “산별노조의 장점보다는 무분별한 파업의 가능성이 증대되고 중앙단위와 개별 사업장에서 이중삼중의 교섭비용 부담이 초래되는 등 부작용이 더 많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원들은 “비정규직법안 관련 사안이나 산별노조 전환 관철 등 상급단체가 지시하는 정치적인 이슈에 얽매여 불법파업을 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하반기에 임단협 관련 분규가 증가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