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약특집] 개량신약에 사활 건다

제약업계 경영위기 돌파 '승부수' 연구비용적고 짧은 기간 성공확률 높아<br>성공땐 연 50~60억弗 부가가치 기대…車300만대 판매 순이익과 맞먹는 효과

[제약특집] 개량신약에 사활 건다 제약업계 경영위기 돌파 '승부수' 연구비용적고 짧은 기간 성공확률 높아성공땐 연 50~60억弗 부가가치 기대…車300만대 판매 순이익과 맞먹는 효과 • [제약특집] 김정수 한국제약협회 회장 • [제약특집] 실속없는 세계10대 신약개발국 • [제약특집] 국산화 잇단 성공 '춘추전국시대' • [제약특집] 이관순 한미약품 연구센터 소장 • [제약특집] "日을 벤치마킹하자" • [제약특집] 제약주 다시 봄날온다 • [제약특집] 한미약품 아모디핀 • [제약특집] 종근당 시이폴-엔 • [제약특집] 중외제약 프리페넴 의약분업 이후 다국적 기업의 공세와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이 개량신약 개발에 적극 나서며 경영위기를 돌파하고 있다.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신약보다는 비교적 적은 연구비용과 짧은 기간안에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개량신약에 승부수를 던지겠다는 것이다. 2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 중외제약, 종근당 등 국내 토종 제약사들은 최근 고혈압치료제, 항생제, 고지혈증치료제, 당뇨병치료제, 항우울증치료제 등 특허기간이 만료된 오리지널 약품에 대해 개량신약을 선보이고 있다. 개량신약은 기존 오리지널 신약과 성분은 유사하지만 제조방법 등을 바꿔 기존물질의 성질을 개선해 활용도를 높인 의약품이다. 국내 제약사들이 개량신약 개발에 나서는 것은 신약에 비해 높지 않은 난이도, 적은 투자비, 짧은 개발기간 등이 규모가 적은 국내 제약업체들의 부담을 줄여줄 뿐 아니라 기술수출과 내수시장 공략이라는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신약개발에 비해 성공확률이 높다는 점도 주된 이유다. 특히 개량신약 개발에 성공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다국적기업이 휩쓸고 있는 국내 시장을 일정부분 빼앗아 올 수 있을 뿐더러 장기적으로는 신약개발의 기반을 마련할 수 도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예컨대 1개의 신약을 개발하는 데는 수천억원, 또는 1조 이상의 개발비용과 10~15년의 장기간이 소요된다. 물론 성공할 경우 연간 50~60억 달러라는 엄청난 고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고, 이 경우 순이익은 자동차 300만대를 판매한 것과 버금가는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해 전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매출 1위를 기록한 ‘리피토(화이자)’의 경우 단일제품만으로 103억 달러(약 12조3,6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국내 제약시장의 전체 매출액인 7조원과 비교도 되지 않는다. 하지만 국내 제약사들이 뛰어들기엔 그만큼 위험도도 높고, 세계적 수준의 다국적기업과 경쟁하기도 벅차다. 따라서 개발비의 경우 적게는 수십억원, 많게는 수백억원이 들며, 개발기간은 3∼7년 정도 걸리는 개량신약개발이 자금, 연구인력 등이 충분치 못한 우리나라에서 적절한 연구모델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국내 주요 제약사(동아제약, 한미약품, 유한양행, 중외제약 등 4개사)의 연구개발 투자비는 연간 약 100억원, 매출액 대비 R&D투자 비중은 4~5%로 미국 제약기업의 17.7%정도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 개량신약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미약품은 “개량신약은 기술수출 가능성이 클 뿐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도 한 해 매출이 100억원대가 넘는 블록버스터 반열에 오를 수 있는 확률도 높다”고 말한다. 실제로 이 회사는 면역억제제 임프란타 및 네오프란타의 개발과정에서 개발된 ‘마이크로에멀전 제조기술’을 6,000만 달러에 다국적 제약사 ‘노바티스’로 기술 수출했으며, 2001년 3월 출시한 먹는 무좀약 ‘이트라 정’은 지난해 15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 중외제약이 차세대 항생제 ‘이미페넴’을 전공정에 걸쳐 합성 성공한 것은 대표적인 개량신약 사례로 평가된다. 이미페넴은 90년대 오리지널 약이 특허만료된 후에도 합성기술이 어려워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개량신약을 내놓는 곳이 없었지만 중외제약은 4년여의 연구로 오리지널 제품보다 효율성이 높은 제품을 생산해 국내외에서 연간 1억달러의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종근당이 다국적 제약기업인 노바티스와의 의약품 특허분쟁에서 최종 승소한 점도 국내 토종사들의 개량신약 개발에 활력을 넣어주는 부분이다. 대법원은 최근 스위스의 다국적 제약사 노바티스가 종근당의 장기이식 면역억제제 ‘사이폴-엔’을 상대로 낸 특허침해금지 청구소송에서 ‘노바티스의 주장이 이유 없다’며 2심에 이어 원고패소 판결을 내려 종근당의 개량신약 기술이 독창적이라는 점을 일깨워줬다. 여재천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사무국장은 “신약개발이 열악한 국내 상황에서 개량신약 개발은 필수적”이라며 “중ㆍ단기적인 개량신약 개발로의 수익창출을 궁극적으로는 장기적인 신약개발 투자로 연결해 나가는 것이 국내 제약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고 말했다. 홍준석 기자 jshong@sed.co.kr 입력시간 : 2004-06-29 19:2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