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6월11일] 음주측정기 음주운전 단속

‘한번 실수는 병가지상사’라고? 천만의 말씀. 음주운전 사고의 경우 이 말은 전혀 통하지 않는다. 비록 한번이라 하더라도 음주운전 사고는 피해 당사자야 말할 것도 없고 가해자의 인생도 종친다고 봐야 한다. 사고를 내지 않더라도 음주운전 단속에 걸리면 몇백만원에 달하는 벌금에 운전면허 정지 등 엄청난 후유증이 뒤따른다. 그러나 음주운전이 나쁘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음주운전 사고건수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03년 국내 음주운전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3만1,227건으로 2002년의 2만4,983건보다 24.9%나 급증했다. 이에 따른 인명피해도 사망자는 907명에서 1,113명으로 22.7%, 부상자는 4만2,316명에서 5만5,230명으로 30.5%가 각각 늘었다. 게다가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지난해 15조원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 6월11일 경찰이 마침내 음주운전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경찰은 자가 운전자가 늘어나면서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급증하자 미국에서 음주감지기 400대를 도입, 음주운전 단속에 나섰다. 휴대용 트랜지스터 라디오 정도 크기의 음주감지기 상단에 붙어 있는 파이프에 운전자가 입김을 불면 혈중 알코올 농도가 숫자로 표시된다. 기준치 이상을 마시고 운전하다 적발되면 1년 이하의 징역과 30만원 이하의 벌금 외에 30일간 운전면허 정지, 자동차 사용 정지처분이 병과되도록 했다.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 기분 좋게 술 마시고 인생 망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술 마시고 기어이 차를 집에 가지고 가겠다면 대리운전을 시키는 게 낫다. 불경기 탓에 우후죽순격으로 생긴 대리운전업체들의 과열경쟁으로 대리운전비도 저렴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