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원자재가격 상승 中企 자금난 가중

최근 경기회복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자금부담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가격이 크게 올랐고 판매대금의 어음결재 관행이 개선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기협중앙회(회장 박상희·朴相熙)가 중소제조업체 1,500개를 대상으로 지난 2월 실시한「중소기업 원자재수급 및 제품판매 동향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구매하는 원자재가격은 지난해 9월말대비 올해 2월말 현재 8.5% 인상됐다. 펄프(60%)와 골판지원지(42.4%)가 가장 많이 인상됐다. 유가상승의 영향을 직접받은 LP가스와 아스팔트는 각각 36%와 25.3%, PVC등 합성수지와 레이온사등 섬유사도 20%이상 인상됐다. 원자재가격이 크게 오른 것은 대기업들이 환율인하 효과는 반영하지 않은채 유가상승분만 가격에 반영하고 있 때문이다. 판매대금의 어음결재 비율도 지난해 12월 53.9%에서 올해 2월 54.7%로 오히려 높아져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중소기업제품의 대부분을 대기업이 사가는 것을 고려하면 대기업의 어음결재 관행이 더 심화되고 있다는 증거다. 인천의 골판지원단 제조회사의 한 관계자는 『골판지원지 가격이 국제적으로 상승한 것은 사실이다』며 『하지만 대기업들이 수출업체 공장기계가 고장나 물량공급이 어렵다는 등 납득하기 어려운 핑계까지 들면서 원자재 공급가격을 상승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부산에서 건축내장용 PVC를 납품하는 회사 간부는 대기업이 『원자재를 팔때는 1달이내 현금결재를 요구하고 막상 완제품을 납품할때는 3개월 내지 6개월의 어음을 줘 필요한 원자재를 공급못해 공장을 세우기도 했다』고 입력시간 2000/03/12 18:1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