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北, '현대 담화' 사전통보 배경은

북한이 20일 현대와의 사업을 재검토하겠다는내용의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위) 담화를 발표하기에 앞서 우리 정부에담화 내용을 통보한 것으로 확인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21일 "북측이 20일 오전 정동영 통일부 장관 앞으로 전통문을 보내 아태위의 담화 내용을 미리 전해왔다"고 밝혔다. 아태위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담화를 공식 발표한 시점은 오후 1시 26분께. 정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2시간 이상 먼저 통보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전통문에는 담화의 전문만 담았을 뿐 우리 정부에 대한 별도 메시지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북측은 현대아산에는 담화내용을 사전 통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전 통보는 매우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과거에는 사전 통보가 드물었기에 뒤통수를 맞는 일이 적지 않았다. 특히 지난 2월 10일 북한의 핵무기보유 선언을 비롯한 북핵 관련 발표는 미리우리측에 알려주는 일이 거의 없었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정부 측에서는 이번 사전통보를 긍정적으로 여기는 분위기다. 최근 발전하고 있는 남북 당국 간 관계의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우리측이 지난 9월 평양에서 열린 제16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금강산관광 정상화에 대한 관심을 표시한 것을 반영한 북측의 배려가 아니냐는 시각도나오고 있다. 전통문의 발신인과 수신인이 남북 장관급회담 단장인 권호웅 내각참사와 정동영장관이라는 점은 이런 시각을 뒷받침해 준다. 이런 긍정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이번 사전통보를 현대와 북측 간 `화해 협상'의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시그널로 받아들이는 관측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물론 이례적인 이번 `소통' 사실을 정부가 긍정적으로 해석하면서도 아태위 담화에 대한 입장을 밝힐 때는 공개하지 않았다가 뒤늦게 확인한 점 등을 들어 일부에서는 당국 간에 `물밑 공조'가 있지 않았느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이봉조 통일부 차관은 20일 관광객 축소로 파행하는 금강산관광과 관련한 우리정부의 추가 중재 유무에 대해 "정부 차원서 북측과 추가적인 중재 노력은 없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9월 남북장관급회담에서 금강산관광 정상화를 위해 남.북 당사자간만남을 주선했지만 현재까지 당사자인 현대와 아태평화위측의 공식 만남은 이뤄지지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