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당, “지방재정 위기 탈출은 부자감세 철회에서부터”

공공요금 가격 검증할 제도 필요성도 제기해

민주당은 18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최근 대두된 지방재정 위기의 가장 효과적이고 합리적 해결책은 부자감세 철회”라며 정부의 감세 철회를 촉구했다. 백원우 민주당 제1정조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부자감세로 인해 지방재정 수입이 5년간 총 18조6천억원 감소했다. 지방재정의 위기는 첫째로 여기에서부터 온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각 지자체의 재정자립도, 재정자주도 등 지방재정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며 “지방세수로 직원들 인건비도 못 주는 지자체가 24곳에 달하고 지난해보다 예산을 감액해 편성하는 곳도 생겨났다”고 지적했다. 백 위원장은 동시에 지방권력의 일당 독주를 재정 위기의 원인으로 지적하며 “단체장과 의회가 서로 견제가 이뤄졌다면 과연 시장이 호화 청사 건립 등에 허튼 돈을 쓰도록 놔뒀을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민주당은 지방재정 위기 대책으로 이 밖에도 ▦지방교부세율 및 지방교육재정교부율 각각 1%포인트 인상 ▦3년간 한시적 지방재정 지원용 목적예비비 편성 ▦사회복지 국고보조사업의 국고보조율 인상 ▦주민참여예산제 의무화를 요구했다. 정부가 지방재정 대책으로 내놓은 지방소득세와 지방소비세에 대해 백 위원장은 “세수 전체를 늘리는 게 아니라 국세를 지방세로 이양하는 것에 불과하다”며 “특히 지방소비세는 서울과 수도권도 지원하게 돼 있어 지역간 경제적 불균형이 심한 현실을 악화시킬 뿐”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전병헌 정책위의장은 정부의 공공요금 인상에 대해 “생활필수품의 가격정보공개가 외려 요금 인상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쓰인다”고 비판하며 “▦전기료 ▦도시가스료 ▦열차운임 ▦광역상수도료 ▦도로통행료 ▦우편요금 등 정보가 공개된 공공요금 모두 요금을 거둬 얻는 총수입이 원가에도 못 미친다고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 의장은 “공개된 가격정보는 모두 공급자가 일방적으로 산정한 것으로 객관성이 없다”며 “공급자인 공공기관과 소비자가 대등한 위치에서 가격을 검증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