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구 신서·충북 오송

정부, 최종후보지 공동 선정

글로벌 의료연구개발(R&D) 허브가 될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구ㆍ경북 신서혁신도시와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 두 곳이 공동 선정됐다. 두 지역에는 오는 2038년까지 시설운영비 1조8,000억원, 연구개발비 3조8,000억원 등 모두 5조6,000억원이 투입돼 글로벌 의료시장을 겨냥한 신약개발지원센터와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ㆍ첨단임상시험센터 등 종합연구공간이 들어서게 된다. 정부는 10일 오후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첨복단지위원회를 열어 유치를 신청한 10개 지역 가운데 두 지역을 최종 후보지로 확정했다. 하지만 정부가 첨복단지의 집적효과를 높이기 위해 당초 한 곳만 선정하겠다고 발표한 점을 감안하면 이번 입지 결정이 지역정서와 정치적 입장을 고려한 타협이 아니었냐는 지적이 나와 향후 논란이 예상된다. 첨복단지사업(2013~2037년)의 기대효과는 의료산업 45조원, 여타 산업 파급효과 37조2,000억원 등 생산증가 82조2,000억원, 고용창출 38만2,000명에 달한다. 첨복단지 유치전에는 ▦서울 마곡도시개발구역 ▦인천 송도경제자유구역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 ▦부산ㆍ울산ㆍ경남 양산 일반산업단지 예정지 ▦강원 원주기업도시 ▦대구ㆍ경북 신서혁신도시 ▦대전 대덕R&D특구 ▦충북 오송생명과학단지 ▦충남 아산 황해경제자유구역 ▦광주ㆍ전남 진곡일반산업단지 등 열 곳이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