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美·러등과 '후속방안' 협의

라이스 美 국무·러 외무차관 이번주 잇따라 방한

정부, 美·러등과 '후속방안' 협의 라이스 美 국무·러 외무차관 이번주 잇따라 방한 김영기기자 young@sed.co.kr 안길수기자 coolass@sed.co.kr 통일부 "개성공단·금강산관광은 결의안과 무관"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채택됨에 따라 이번주부터 미국ㆍ러시아 등과 실무 회담을 갖고 결의안의 이행 방안과 북한을 6자 회담에 복귀시키기 위한 후속 방안에 대한 협의에 들어간다. 15일 청와대와 외교통상부 등에 따르면 지난 13일 한중 양국이 정상회담을 통해 특사 파견 등 북핵 사태의 해결 방안을 협의한 데 이어 이번주에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러시아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알렉산드르 알렉세예프 외무차관이 잇따라 한국을 방문해 유엔 결의안 채택 이후의 외교적 해결 방안에 대한 본격 협의에 착수한다. 라이스 장관은 이번 한국 등의 방문을 통해 북한을 제외한 '5자 북핵 장관회동'의 추진도 도모할 것으로 예상되며 북한이 제기하는 위협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다자안보 틀을 구축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유엔 결의안 채택을 계기로 한국에 대해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 확대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돼 한미간 협의 결과가 주목된다. 앞서 정부는 이날 외교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대북제재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한 것에 대해 유엔 회원국으로서 안보리 결의를 존중하고 이를 성실히 이행해나갈 것임을 재차 확인했다. 북한이 모든 핵무기와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에 복귀할 것을 촉구하는 한편 북한이 6자 회담에 즉각 복귀해 9ㆍ19 공동성명을 조속히 이행함으로써 핵 문제의 평화적ㆍ외교적 해결을 촉구했다. 한편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결의안과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사업은 무관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유엔 안보리 결의안이 자금과 금융자산 등을 동결하도록 한 것은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인데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은 이와 관계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입력시간 : 2006/10/15 16:5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