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태극전사 뒷심, 스위스에도 통할까

20대 주축 스위스에 우위 자신못해… 한국, 초반부터 공격적인 경기 예상

훈련을 마친 뒤 선수들이 시원한 물에 발을 담그고 있다.이운재를 고트비 코치가 장난삼아 물에 빠뜨릴려고 하자 웃고있다. 대표팀 훈련도중 아드보 감독이 선수들과 족구 한판을 벌이던중 절묘한 득점을 성공하자 만세를 부르고 있다.(오른쪽)/레버쿠젠=고영권 (한국일보)

‘한국축구의 뒷심 스위스에도 통할까.’ 한국 축구대표팀은 2006독일월드컵 G조 조별리그 2경기에서 체력적인 우위를 바탕으로 후반 경기 흐름을 되돌리는데 성공했다. 토고전에서는 전반전 상대의 강한 압박에 고전하며 0대1로 뒤졌지만 후반 총공세로 전환해 2대1 역전승을 거뒀고 프랑스전에서도 전반 단 1개의 슈팅을 기록하는데 그치며 일방적으로 몰리다 후반 극적인 동점골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 체력안배·후반 집중력 유지 신경써야
딕 아드보카트 감독의 용병술이 적중한 측면도 있지만 2경기 모두 체력에서 상대를 앞섰다는 것이 승인으로 꼽힌다. 그러나 16강 진출을 위해 반드시 이겨야 하는 스위스를 상대로도 이런 체력적 우위를 자신할 수 없다. 앞선 경기들과는 여러 가지 상황에서 차이가 있다. 토고의 경우 후반 8분 장 폴 아발로가 경고누적으로 퇴장을 당하며 1명이 부족한 상태에서 후반전을 치렀다. 섭씨 30도가 넘는 폭염 속에서 경기를 치렀음을 감안한다면 시간이 흐를수록 수적으로 우위에 있는 한국에게 밀린 것은 자명한 이치다. 게다가 토고는 이날 숫적 열세 속에서도 전술 변화 없이 경기를 진행했다. 프랑스는 주전 중 30대를 훌쩍 넘긴 선수들이 많았다. 더구나 한국은 전반전부터 후반 초반까지 이렇다 할 공격을 펼치지 못해 상대적으로 체력이 비축된 상태에서 후반 중반을 맞았다. 스위스는 체력이 강한 팀으로 알려져 있다. 반드시 승리해야 하는 부담이 있는 한국은 초반부터 공격적인 경기 운영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비기기만 해도 되는 스위스는 전반부터 무리할 이유가 없다. 수비를 두텁게 하고 역습 위주의 작전으로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스위스를 상대로도 후반에 체력 우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장담하기 어렵다. 또 스위스는 젊은 팀이다. 주전급 중 30대는 파트리크 뮬러(올림피크 리옹) 단 1명뿐이다. 대부분이 20대 중반이다. 노장들이 다수 포진해 있던 프랑스와는 다르다. 스위스는 뒷심이 좋은 팀이기도 하다. 토고전에서 종료 직전 반드시 필요한 1골을 추가했다. 오히려 후반 집중력이 돋보인다. 유럽 지역예선에서도 프랑스와의 2차전에서 0대1로 뒤진 후반 35분 동점골을 넣었고 사이프러스와의 원정경기에서도 1대1로 맞서던 후반 26분과 39분 2골을 몰아넣으며 승리했다. 따라서 초반 강공으로 나설 한국으로서는 체력 안배와 후반 집중력 유지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선제골로 리드를 잡았다 하더라도 끝까지 마음을 놓을 수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